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84

착이온 [Fe(CN)6]^3- 에 대한 설명 착이온 [Fe(CN)6]^3- 에 대한 설명 ferricyanide 또는 hexacyanoferrate(III) --------------------------------------------------- 1) 리간드의 종류: CN^-는 강한 장 리간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410 ) 2) 배위수 = 6 3) 착이온의 구조: 팔면체 구조(octahedral geometry) 4) Fe^3+와 CN^- 사이의 배위 결합 ( 중심 금속 이온과 리간드 사이의 결합은 배위 결합 ) 5) 짝짓지 않은 전자의 수 (홀전자의 개수): 1개 > Fe^3+의 전자배치: [Ar] 3d^5 ( 그림 https://ywpop.tistory.com/10358 ) > d^5 착물의 결정장 분리.. 2019. 10. 29.
구리와 아연의 전자배치. Cu와 Zn의 전자배치 구리와 아연의 전자배치. Cu와 Zn의 전자배치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배치순서(규칙)에 따른 Cu의 바닥상태 전자배치는[Ar] 4s^2 3d^9인데,d^9 보다는 d^10 전자배치가 더 안정하기 때문에,( 이유는 고등학교 수준에서 설명 불가 )   실제 Cu는 [Ar] 4s^1 3d^10과 같은 전자배치를 갖습니다.( 참고: Cr Cu 전자배치 https://ywpop.tistory.com/2844 )       이런 속사정(?)이 있기에,Cu가 이온화될 때는4s^1 3d^10 전자배치에 의한 Cu^+ 이온,4s^2 3d^9 전자배치에 의한 Cu^2+ 이온 (Cu의 주요 이온전하, 산화수),( 참고: Cu^2+ 이온 https://ywpop.ti.. 2019. 9. 22.
고스핀 착물과 저스핀 착물. 저스핀 착물과 고스핀 착물 고스핀 착물과 저스핀 착물. 저스핀 착물과 고스핀 착물 ---------------------------------------------------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9815 ] --------------------------------------------------- [그림] d-오비탈의 분리.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479 ) 예를 들어, d 오비탈에 전자를 4개 가진 전이금속 이온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 4개 전자를 분리된 d 오비탈에 배치시켜 봅시다. 3개 전자까지는 전자 배치 방법에 따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40 ) 에너지 준위가 낮.. 2019. 8. 14.
헤모글로빈. hemoglobin 헤모글로빈. hemoglobin헤모글로빈과 일산화탄소 중독         ▶ 인간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 헴(heme)을 포함하는 소단위 4개로 구성▶ 1개 헤모글로빈 당 4개 산소와 결합   ▶ Fe^2+의 6개 배위수> 포피린의 4개 질소> 단백질의 1개 질소> 1개 산소, O2 (옥시헤모글로빈) 또는 물, H2O (데옥시헤모글로빈)           [ 그림 출처 commons.wikimedia.org ] A heme unit of human carboxyhemoglobin, showing the carbonyl ligand at the apical position, trans to the histidine residue.         ▶ 일산화탄소(CO)에 노출되면,Fe.. 2019. 7. 24.
킬레이트 효과. chelating effect 킬레이트 효과. chelating effect ---------------------------------------------------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9815 ] --------------------------------------------------- ▶ 킬레이트 화합물 (chelate compound, chelate complex) > 두 자리 이상의 리간드를 포함하는 배위 화합물 ( 참고: 리간드의 종류 https://ywpop.tistory.com/4811 ) ▶ 킬레이트제 (chelating agent) > 두 자리 이상의 리간드를 특별히(별도로) 킬레이트 리간드 또는 ‘킬레이트제’라 부른다. 예) 에틸.. 2019. 7. 4.
정팔면체 착물. MA4B2 이성질체, MA4B2 isomer 정팔면체 착물. MA4B2 이성질체, MA4B2 isomer --------------------------------------------------- ▶ MA4B2 착물의 기하 이성질체는 시스-이성질체, 트랜스-이성질체, 이렇게 2개 존재한다. [그림] 동일한 MA4B2 시스-이성질체, MA4B2 cis-isomer.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1471 ] 정팔면체 착물의 회전. MA4B2 시스-이성질체 [그림] 동일한 MA4B2 트랜스-이성질체, MA4B2 trans-isomer. [키워드] 정팔면체 이성질체 기준문서, 정팔면체 착물의 이성질체 기준문서, 착 이온의 이성질체 기준문서, 착 이온의 기하 이성질체 기준문서, ma4b2 isomer 기준문서, ma4b2 .. 2019. 6. 5.
이성질체. isomers ★ 이성질체. isomers       ▶ 배위 화학에서 명명법과 이성질 현상( 이성질 현상은 배위 화학에 국한된 것이 아닌,일반화학에 대한 설명입니다. )         ▶ 이성질체, 異性質體 (Isomers)>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성질이 다른 물체(body)⇨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matter)   여기다가,         > 분자식(화학식)은 같으나,물리적/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   > Isomers of aminophenol, C6H7NO         ▶ 구조(structural) 이성질체 (유기화합물)> 분자식은 같으나,원자(단)의 연결(결합) 순서가 달라, 또는 구조식이 달라물리적/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 2019. 3. 23.
배위화합물 명명법. 착물 명명법. 착이온 명명법 ★ 배위화합물 명명법. 착물 명명법. 착이온 명명법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9815 ]---------------------------------------------------   [대한화학회 명명법]( 웹사이트 http://new.kcsnet.or.kr/iupacname )   중심 금속이 1개인 배위화합물의 경우,화학식에 표시된 순서로 리간드의 이름을 적은 후에 금속의 이름을 붙여서 나타낸다.( 그러나 화학식을 표시하는(나타내는) 순서에 대한 설명은 없다. )( 영문 명명법: 다른 종류의 리간드들이 배위되어 있는 경우리간드 이름의 알.. 2018. 12. 17.
착이온의 산화수 계산. 배위화합물의 산화수 ★ 착이온의 산화수 계산. 배위화합물의 산화수   ---------------------------------------------------▶ 참고: 제23장 전이 금속과 배위 화학. 목차[ https://ywpop.tistory.com/19815 ]---------------------------------------------------   ▶ 배위화합물, 착물, 착이온에서중심 금속 이온의 산화수를 계산하는 방법은일반적인 화합물 또는 이온의 산화수 계산 방법과 동일하다.(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https://ywpop.tistory.com/2719 )       ▶ 배위화합물은 일반 화합물처럼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배위화합물을 구성하는 모든 원자(단)의 산화수의 합 = 0.---> [배위화합물.. 2018. 12. 6.
Co^3+ 착이온의 흡수 파장 Co^3+ 착이온의 흡수 파장 착이온 [Co(NH3)6]^3+, [Co(CN)6]^3-, [CoF6]^3-를 생각해보자. 이들의 흡수 파장은 770 nm, 440 nm, 290 nm이다. 흡수한 전자파와 착이온을 짝지어 보아라. Three complex ions of cobalt(III), [Co(CN)6]^3-, [Co(NH3)6]^3+, and [CoF6]^3-, absorb light at wavelengths of (in no particular order) 290 nm, 440 nm, and 770 nm. Match each complex ion to the appropriate wavelength absorbed. --------------------------------------------.. 2018.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