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몰수는 n mol에서 n을 의미
------------------------
몰수는 n mol에서 n을 의미한다.
---> 이렇게 쓸 수도 있지만,
보통 mol의 기호를
n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혼동되므로,
몰수는 x mol에서 x를 의미한다.
라고 바꾸자.
“몰수 = 질량 / 몰질량” 이다.
---> 맞다. 또는
“몰 = 질량 / 몰질량”,
이렇게 쓸 수도 있다.
각각의 기호 (단위)를 나타내면,
> 몰수는 n (mol)
> 질량은 W (g)
> 몰질량은 M (g/mol)
따라서
“몰수 = 질량 / 몰질량” 을
기호로 나타내면,
n = W / M
mol = g / (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다른 식으로 표현하면,
“몰수 × 몰질량 = 질량” 도 가능하다.
n × M = W
mol × (g/mol) = g
[참고] 몰수와 몰은 똑같은 건가요?
---> 예, 똑같습니다.
이것은
개수와 개가 똑같은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가령, 사과가 5개 있을 때,
① 사과는 몇 개 있습니까?
---> 5개
② 사과의 개수는 얼마입니까?
---> 5 (또는 5개)
이런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키워드] 화학량론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3장] 화학량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정계수법. C + O2 → CO2 (7) | 2025.01.24 |
---|---|
미정계수법. Cu + O2 → CuO (2) | 2025.01.24 |
미정계수법. C2H5O2N → CO2 + H2O + HNO3 (8) | 2025.01.21 |
질량을 몰질량으로 나누면 몰 (2) | 2025.01.15 |
수소(H) 원자 1 mol이 포함된 물(H2O) 분자의 질량(g) (0) | 2025.01.13 |
0.0433 M NaClO3 15.0 mL와 반응하는 I2의 질량 (2) | 2025.01.08 |
미정계수법 Na2SO4 + CaCl2 → CaSO4 + NaCl (3) | 2025.01.05 |
120 g Mg와 100 g O2가 반응 생성되는 MgO의 질량 (2) | 2024.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