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652

액체 염소 1.5 kg 완전 기화 약 몇 Sm3 액체 염소 1.5 kg 완전 기화 약 몇 Sm3     액체 염소 1.5kg을 완전 기화시키면 약 몇 Sm3가 되는가?(단, 표준상태 기준)① 약 0.23 Sm3② 약 0.47 Sm3③ 약 0.63 Sm3④ 약 0.87 Sm3       답: ② 약 0.47 Sm3( 참고 https://ywpop.blogspot.com/2024/05/15-kg-sm3.html )       [키워드] 몰부피 기준 2024. 12. 4.
황분 1.6% 황산화물 710 ppm 산소농도 7% 표준산소농도 4% 황분 1.6% 황산화물 710 ppm 산소농도 7% 표준산소농도 4%     22. 황분 1.6% 이하를 함유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시설에서배출되는 황산화물(표준산소농도를 적용받는 항목)을 측정한 결과710 ppm이었다. 배출가스 중 산소농도는 7%, 표준산소농도는 4%이다.시험성적서에 명시해야 할 황산화물의 농도는?       C = Ca × [(21 – Os) / (21 – Oa)](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273 )   = 710 ppm × [(21 – 4) / (21 – 7)]= 862.1 ppm       답: 862 ppm         [키워드] 배출허용기준 기준, 배출허용기준초과 기준, 표준산소농도 보정 기준, 표준산소농도 기준 2024. 12. 4.
1차 집진기 입구먼지농도 13 g/m3 최종 출구 농도 0.4 g/m3 1차 집진기 입구먼지농도 13 g/m3 최종 출구 농도 0.4 g/m3     59. 두 종류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였다.1차 집진기의 입구먼지농도는 13 g/m3이고,최종 출구 농도는 0.4 g/m3이다.2차 집진장치의 처리효율이 90%라면1차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① 56 %② 69 %③ 74 %④ 76 %       집진율(%) = [1 – (출구농도 / 입구농도)] × 100= [1 – (작은값 / 큰값)] × 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132 )       최종 출구 농도는 0.4 g/m3이다.2차 집진장치의 처리효율이 90%라면입구농도 = 출구농도 / (1 – 집진율/100)= 0.4 / (1 – 90/100)= 4 g/m3---> 2차 집진장치의.. 2024. 12. 4.
길이 4.0 m, 폭 1.2 m, 높이 1.5 m 연소실 저발열량 5000 kcal/kg 중유 길이 4.0 m, 폭 1.2 m, 높이 1.5 m 연소실 저발열량 5000 kcal/kg 중유     49. 길이 4.0 m, 폭 1.2 m, 높이 1.5 m 되는 연소실에서저발열량이 5,000 kcal/kg의 중유를1시간에 200 kg씩 연소하고 있는 연소실의 열발생률은?① 약 11×10^4 kcal/m3·h② 약 14×10^4 kcal/m3·h③ 약 18×10^4 kcal/m3·h④ 약 22×10^4 kcal/m3·h       열발생률 = HI × Gf / V> 열발생률의 단위 = kcal/m3•hr> HI: 저위발열량 (kcal/kg)> Gf: 연료량 (kg/hr)> V: 체적 (m3)(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253 )       ※ 환산인자 또는 단위소거법.. 2024. 12. 4.
C, H, S 중량분율 85%, 12%, 3% 중유 공기비 1.2 습윤 연소가스 SO2 부피(%) C, H, S 중량분율 85%, 12%, 3% 중유 공기비 1.2 습윤 연소가스 SO2 부피(%)     C, H, S의 중량분율이 각각 85%, 12%, 3%인 중유를공기비 1.2로 완전연소 시킬 때습윤 연소가스 중의 SO2의 부피(%)는?① 0.10%② 0.15%③ 0.25%④ 0.30%       ※ 공식이 있을텐데, 못 찾아서,그냥 화학량론적 상식(?)으로 계산해 보면...         (1) 중유 1 kg에 들어있는 각 성분의 몰수 계산   > 1000 g × (85/100) = 850 g C> 850 g / (12 g/mol) = 70.83 mol C( C의 몰질량 = 12 g/mol )   > 1000 × (12/100) = 120 g H> 120 / 1 = 120 mol H( H의.. 2024. 12. 4.
여과지 0.45 m/s 속도 3시간 포집 빛전달율 66% 1000 m당 Coh 여과지 0.45 m/s 속도 3시간 포집 빛전달율 66% 1000 m당 Coh     10. 공업지역의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해여과지를 이용하여 0.45 m/s 속도로 3시간 포집한 결과,깨끗한 여과지에 비해 포집한 여과지의 빛전달율이 66%였다면1,000 m당 Coh는?① 3.0② 3.2③ 3.7④ 3.9       ▶ 빛의 전달률 계수. Coefficient of Haze, COH> 대기 중 먼지에 대한 대기질 오염도 평가> 깨끗한 여과지에 먼지를 모은 후빛의 전달률의 감소율을 측정하여 구한다.> COH의 값이 클수록 빛 전달률은 감소하며,대기 오염 정도가 높음(심함)을 의미한다.> 빛 전달률을 측정하였을 때 광학적 밀도가 0.01이 되도록 하는여과지 상의 빛을 분산시키는 고형물질의 양을 의미한다. .. 2024. 12. 4.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을 중화적정법으로 측정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을 중화적정법으로 측정     28.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을중화적정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황산화물의 농도는?   > 적정에 사용한 0.1 N NaOH 용액량: 2.5 mL> 바탕시험에 사용한 0.1 N NaOH 용액량: 0.3 mL> 0.1 N NaOH 용액의 역가: 1.000> 분석용 시료용액 분취량: 50 mL> 건조시료가스량: 40 L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 분석[1] 침전적정법 (아르세나조 Ⅲ법)(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0975 )   [2] 중화적정법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 분석] 중화적정법C = [1.12 × (a – b) × f × (250/V)] / Vs × 1000> C: 황산.. 2024. 12. 3.
집진기 입구 출구 기체 분진농도 10 g/Sm3, 0.5 g/Sm3 집진기의 효율 집진기 입구 출구 기체 분진농도 10 g/Sm3, 0.5 g/Sm3 집진기의 효율     58. 집진기 입구와 출구의 기체 분진농도가 각각10 g/Sm3, 0.5 g/Sm3 일 때, 집진기의 효율은?① 85%② 90%③ 95%④ 99%       집진율(%) = [1 – (출구농도 / 입구농도)] × 100= [1 – (작은값 / 큰값)] × 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132 )   = [1 – (0.5 / 10)] × 100= 95%       답: ③ 95%         [키워드] 집진기의 효율 기준, 집진율 기준 2024. 12. 3.
A성분 실측농도 200 mg/Sm3 실측산소농도 3.5% 표준산소농도 3.05% A성분 실측농도 200 mg/Sm3 실측산소농도 3.5% 표준산소농도 3.05%     표준산소농도 적용을 받는 A성분의 실측농도가200 mg/Sm3이고, 실측산소농도가 3.5%이다.표준산소농도로 보정한 A성분의 농도는?(단, 표준산소농도는 3.05% 이다.)       [표준산소농도로 환산(보정)]   보정계수, m = (21 – 표준산소농도) / (21 – 배출가스 산소농도)   표준산소농도 환산농도 = m × 측정농도(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0946 )       m = (21 – 표준산소농도) / (21 – 배출가스 산소농도)= (21 – 3.05) / (21 – 3.5)= 1.0257       표준산소농도 환산농도 = m × 측정농도= 1.0257 ×.. 2024. 12. 3.
배출가스 조성 CO2=12%, O2=8%, N2=80% 공기비 배출가스 조성 CO2=12%, O2=8%, N2=80% 공기비     보일러의 배출가스 조성이CO2=12%, O2 8%, N2=80%일 때 공기비는?       ▶ 공기비(m) 계산 공식m = N2% / (N2% – 3.76×O2%)(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176 )       m = 80 / (80 – 3.76×8)= 1.6       답: 1.6         [키워드] 공기비 기준 2024. 1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