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2장] 고체 및 최신 소재57

분자와 분자결정. 분자결정과 분자 분자와 분자결정. 분자결정과 분자       ▶ 분자결정은 분자가 갖는 상태 중 하나.       25℃, 1 atm에서 분자가 갖는 상태는질소(N2), 산소(O2), 메테인(CH4) 등과 같은 기체 상태,물(H2O), 메탄올(CH3OH), 아세톤 등과 같은 액체 상태,설탕 등과 같은 고체 상태가 있다.       고체 상태의 경우,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결정 상태와불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비결정 상태로 나눌 수 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867 )       여기서,분자가 고체 상태인데,그 고체가규칙적인 배열을 갖는 결정이면,그것을분자결정이라 한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9587 ] 공유결정과 분자결.. 2021. 5. 5.
수지와 플라스틱의 차이 수지와 플라스틱의 차이 --------------------------------------------------- “수지 = 중합체, 고분자” 입니다. ( 참고: 고분자 https://ywpop.tistory.com/4217 ) 수지를 주원료(또는 모노머)로 하여, 가소제, 충전제, 윤활제, 착색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혼합하여 만든 재료가 플라스틱. 즉, 수지는 플라스틱의 원료 중 하나이며, 플라스틱은 수지의 최종 생성물. 플라스틱은 순수한 수지 또는 다양한 첨가제의 혼합물. ( 순수한 수지 ---> 이 때문에 수지 = 플라스틱. ) [ 그림 출처 commons.wikimedia.org ] 천연수지. 천연고분자.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5654 ] 열경화성 수지와 .. 2020. 9. 28.
나노 크기의 금속. Top-down & Bottom-up 나노 크기의 금속. Top-down & Bottom-up --------------------------------------------------- ▶ 참고: 나노입자 [ https://ywpop.tistory.com/2630 ] --------------------------------------------------- ▶ 나노 크기의 금속 > 1~100 nm 크기의 금속 입자 ▶ 2가지 제조 방법 >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 ▶ Top-down 방식 > Top-down: 물리적(기계적) 방법. 분쇄. > 믹서기, 맷돌, 절구와 같은 원리로 큰 입자를 갈아서 작은 입자로 만드는 방법. > 분쇄장치의 물리적인 한계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 제조에 적합하다. > 분쇄시켜 나.. 2020. 9. 14.
아보가드로 수 계산. Ba bcc 502 pm 3.50 g/cm3 68% 아보가드로 수 계산. Ba bcc 502 pm 3.50 g/cm3 68%     Barium metal crystallizes in a body-centered cubic lattice (the Ba atoms are at the lattice points only). The unit cell edge length is 502 pm, and the density of the metal is 3.50 g/cm3. Using this information, calculate Avogadro's number.[Hint: First calculate the volume (in cm3) occupied by 1 mole of Ba atoms in the unit cells. Next calculate the v.. 2020. 9. 9.
HDPE LDPE HDPE LDPE       [참고] polyethylene, PE의 구조식[ https://ywpop.tistory.com/37 ]       ▶ 중합체의 성질: 결정화도 (Crystallinity)>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   > 기계적으로 늘리거나 잡아당겨서,중합체의 결정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786 ]연신을 하면 결정화도가 증가하는 이유       ▶ Effect of branching on density> A very linear PE chain can closely approach other.. 2020. 9. 7.
제12장 고체 및 신소재. 목차 ★ 제12장 고체 및 신소재. 목차 Solids and Modern Materials --------------------------------------------------- ▶ 참고: 일반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971 ] --------------------------------------------------- 12.1 고체의 분류. Classification of Solids [ https://ywpop.tistory.com/3064 ] 결합 종류에 따른 고체의 분류 12.2 고체의 구조. Structures of Solids [ https://ywpop.tistory.com/5085 ] 고체의 구조와 결정 격자 (crystal lattice) [ https.. 2020. 8. 18.
그래핀의 구조와 전기 전도성. graphene 그래핀의 구조와 전기 전도성. graphene         그래핀의 구조는 벤젠의 구조가 확장된 것으로 보면 된다.( 참고: π-공액구조 https://ywpop.tistory.com/9577 )     또는 흑연의 층상구조에서 한 층의 구조와 동일하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64 )       벤젠에서 π-전자는 이동이 가능하므로,벤젠은 공명 구조를 가진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35 )       벤젠의 π-전자는 한 개의 고리 내에서만 이동하지만,그래핀의 π-전자는그래핀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이 때문에 그래핀은 전기를 잘 전도(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 .. 2020. 7. 28.
The molecular structure of aramid fibers The molecular structure of aramid fibers --------------------------------------------------- ▶ 아라미드(aramid). 아라미드 섬유. 고분자 섬유 > 총알도 뚫지 못하는 강도, > 500℃의 불 속에서도 타거나 녹지 않는 내열성, > 아무리 힘을 가해도 늘어나지 않는 뛰어난 인장강도를 가진 섬유. > 1970년대 초, 미국의 화학기업 듀폰(DuPont)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 > 케블라(Kevlar): 미국 듀폰사의 아라미드 소재의 브랜드명.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Aramid ) ▶ Chemical formula > 고분자의 화학식은 반복 단위 (repeat unit or repe.. 2020. 7. 17.
고체의 띠 이론. 전도띠의 개념 고체의 띠 이론. 전도띠의 개념 ---------------------------------------------------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또는 원자가 갖고 있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는크게 바닥상태와 들뜬상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닥상태: 에너지 준위가 낮은 안정한 상태.> 들뜬상태: 에너지 준위가 높은 불안정한 상태. 금속의 경우,수많은 원자들이 금속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각각의 원자들의 에너지 준위는중첩되어 띠를 형성합니다.이 때문에바닥상태 에너지 준위를 원자가띠,들뜬상태 에너지 준위를 전도띠라고 부릅니다.( 관련 글: 고체의 띠 이론 https://ywpop.tistory.com/3467 ) 전자가 원자가띠에 존재하고 있으면,이것은 각각의 원자에 구속된 상태라 보면 되고,전자가 .. 2020. 2. 12.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 결정질과 비결정질 고체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 결정질과 비결정질 고체 결정성 SiO2(석영)와 비결정성 SiO2(유리) ▶ 참고: 고체의 구조와 결정 격자 (crystal lattice) [ https://ywpop.tistory.com/5085 ] A. 결정성(Crystalline) 고체 구성입자가 규칙적/반복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고체 예) 석영 [ 그림 출처 ] 결정성 SiO2 (석영) B. 비결정성(Amorphous) 고체 구성입자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고체 예) 유리 [ 그림 출처 ] 비결정성 SiO2 (유리) [ 출처 commons.wikimedia.org ] SiO2 반복단위. SiO2 반복구조. [ 출처 commons.wikimedia.org ] Keatite의 결정구조. Keatite is a silicat.. 2020. 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