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2장] 고체 및 최신 소재57

lead Pb 492 pm ccp density lead Pb 492 pm ccp density납 원자의 반지름과 밀도 계산     A certain form of lead has a cubic closest packed structurewith an edge length of 492 pm.Calculate the value of the atomic radius and the density of lead.       492 pm × (1 m / 10^12 pm) × (100 cm / 1 m)= 492 × (1 / 10^12) × (100)= 4.92×10^(-8) cm---> 단위세포의 모서리 길이       단위세포의 부피, volume of unit cell= (edge length)^3= (4.92×10^(-8) cm)^3= 1.19×10^.. 2022. 6. 9.
fcc 결정구조를 가지는 금속원자의 반지름(cm) fcc 결정구조를 가지는 금속원자의 반지름(cm) 단위격자 한 변의 길이 4.1×10^(-8) cm --------------------------------------------------- [ 그림 출처 Wikimedia ] 면심입방격자. face-centred cubic lattice. 피타고라스의 정리(Pythagorean theorem)로부터, a^2 + b^2 = c^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77 ) (4.1×10^(-8))^2 + (4.1×10^(-8))^2 = (4r)^2 3.362×10^(-15) = (4r)^2 r = [(3.362×10^(-15))^(1/2)] / 4 = 1.4496×10^(-8) cm 답: 1.4×10^(-8) cm [키워드] 금.. 2022. 1. 18.
축합 반응으로 만들어진 고분자 축합 반응으로 만들어진 고분자 다음 중 축합 반응으로 만들어진 고분자는? 1) PVC 2) nylon 3) teflon 4) plexiglass 5) neoprene --------------------------------------------------- ▶ 참고: 중합반응. 부가중합 및 축합중합 [ https://ywpop.tistory.com/6909 ] --------------------------------------------------- 1) PVC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 ) 2) nylon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099 ) 3) teflon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41 ) 4) p.. 2021. 12. 10.
몇 가지 주요 단량체. monomer 몇 가지 주요 단량체. monomer             ▶ ethene, ethylene, 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에틸렌       ▶ prop-1-ene, propylene, 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폴리프로필렌       ▶ prop-2-enenitrile, acrylonitrile, 아크릴로나이트릴, 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PAN),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참고 https://ywpop.tistory.com/14690 )       ▶ chloroethene, vinyl chloride, 염화 바이닐, 염화 비닐, 비닐 클로라이드> 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염화 비닐( 참고 https:.. 2021. 12. 10.
공유결정과 분자결정. 화학식만 보고 구별하기 공유결정과 분자결정. 화학식만 보고 구별하기 --------------------------------------------------- ▶ 참고: 결합 종류에 따른 고체의 분류 [ https://ywpop.tistory.com/3064 ] ---> 이 글을 먼저 읽어보세요. --------------------------------------------------- 일단 공유결정은 몇 개 없습니다. C, SiO2, 정도만 외워두면 됩니다. 공유결정은 C처럼 ‘원소’인 것들입니다. ( 단, SiO2만 예외. ) 공유결정은 다이아몬드, 흑연처럼 그물구조(network)이므로, 분자가 아닙니다. 또한 매우 단단하며, 녹는점도 매우 높습니다. 분자결정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I2처럼 ‘원소’이면서 분자.. 2021. 10. 13.
Barium의 밀도. bcc 원자 반지름 222 pm Barium의 밀도. bcc 원자 반지름 222 pm Barium은 체심 입방 구조를 가지고 있다. Barium의 원자 반지름이 222 pm이라고 할 때, 고체 Barium의 밀도를 구하시오. Barium has a body-centered cubic structure. If the atomic radius of barium is 222 pm, calculate the density of solid barium. --------------------------------------------------- > Ba의 몰질량(M) = 137.33 g/mol > body-centered cubic = 2 atoms/unit cell = Z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40 ) .. 2021. 10. 5.
PMMA. head-to-tail structure and head-to-head structure PMMA. head-to-tail structure and head-to-head structure How do head-to-head and head-to-tail structures of poly(methyl methacrylate) differ? --------------------------------------------------- [ 그림 출처 Wikimedia ] head-tail isomerism of vinyl polymers. > head = 치환기(치환체)를 가진 탄소쪽, tail = CH2쪽. [그림] methyl methacrylate (MMA) and PMMA. [그림] head-to-tail structure and head-to-head structure. PMMA의 경우,.. 2021. 10. 2.
폴리에스터 (polyester) 폴리에스터 (polyester) --------------------------------------------------- ▶ 참고: 중합반응의 종류 [ https://ywpop.tistory.com/6909 ] [ 그림 출처 Wikimedia ] polyester synthesis. 축합 반응. [그림] Polyester structure.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ki/Polyester ] Polyester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2006 ] 몇 가지 에스테르 화합물. ester [키워드] 폴리에스터 기준문서, 폴리에스터 사전, polyester dic 2021. 8. 13.
다음 단위체 중 첨가 중합체를 만드는 것 다음 단위체 중 첨가 중합체를 만드는 것 다음 단위체 중 첨가 중합체를 만드는 것은? ① C2H6 ② C2H4 ③ HOCH2CH2OH ④ HOCH2CH3 --------------------------------------------------- ▶ 참고: 중합반응. 부가중합 및 축합중합 [ https://ywpop.tistory.com/6909 ] ▶ 참고: 다중 결합을 가지는 불포화 탄화수소 [ https://ywpop.tistory.com/10319 ] 부가 중합 또는 첨가 중합의 모노머(monomer, 단량체, 단위체)는 다중 결합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답: ② C2H4 2021. 8. 9.
고체에서 전자의 에너지와 에너지띠에 대한 설명 고체에서 전자의 에너지와 에너지띠에 대한 설명 1. 금지된 띠에는 전자가 존재할 수 없다. ※ band gap = 띠 간격 = 띠틈 = 금지대, 금지된 띠 (forbidden band) = 에너지 간격 (energy gap) 2. 띠 간격은 허용된 띠 사이의 에너지 간격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467 ) 3. 전자의 에너지 준위는 불연속적으로 존재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637 ) 4. 원자핵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 높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679 ) 5. 전자가 에너지를 잃으면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이동한다. ( 참고 https://yw.. 2021.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