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실험식을 결정할 때 각 원자의 가장 작은 정수비 계산 방법

by 영원파란 2017. 6. 20.

AdSense@ywpop

실험식을 결정할 때 각 원자의 가장 작은 정수비 계산 방법

 

-----------------------------------------

 

예를 들어, C, H로 이루어진 어떤 탄화수소 화합물의 실험식을 결정할 때,

C의 몰수 = 0.02575 mol

H의 몰수 = 0.02056 mol

이라면, 화학식에 나오는 원자의 개수는 정수이므로,

CH의 가장 작은 정수비를 계산해야 하는데,

이때 일단, 무조건 가장 작은 원자의 몰수로 각 원자의 몰수를 나눠 줍니다.

C : H = 0.02575/0.02056 : 0.02056/0.02056

= 1.2524 : 1

 

이렇게 나누었는데도 정수가 나오지 않았으면,

정수가 나올 때 까지 ×2, ×3, ×4,...

이렇게 배수를 곱합니다.

( 언제까지 곱해야 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특별한 팁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 10미만에서 정수가 나오기 때문에, 거기다가 숫자 감각이 좀 있으면, 대부분 2~3번 만에 정수가 나옵니다. )

 

먼저 2를 곱하면,

C : H = 1.2524 : 1 = 2.5048 : 2

 

여기서 2.5048을 딱 보니, 4를 곱하면, C가 거의 5가 될 것 같으므로,

C : H = 1.2524 : 1 = 5.0096 : 4

 

0.0096쯤은 실험오차로 충분히 버릴 수 있으므로,

C : H 5 : 4

 

따라서 실험식은 C5H4가 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