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유효숫자

화학식량과 유효숫자

by 영원파란 2016. 4. 8.

AdSense@ywpop

728x170

화학식량과 유효숫자

 

 

예를 들어 CO2의 화학식량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 때,

왜 어떨 때는 44.01을 이용하고,

어떨 때는 44.0을 이용하나요?

혹시 유효숫자와 관계있는 건가요?

 

------------------------

 

화학식량은

즉, 화학식량을 구할 때 사용하는 원자량은

상수 값이기 때문에

( 연구자 또는 학생이 직접 측정한 측정값이 아니기 때문에 )

 

완전수에 해당되므로,

( 참고: 완전수 https://ywpop.tistory.com/3212 )

 

유효숫자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CO2의 자세한 화학식량은 44.0095인데,

일반적인 계산에서는 44.01을 사용하고,

간단한 계산에서는 그냥 44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즉, 문제 푸는 사람(또는 문제 출제자) 맘대로 사용합니다.

 

 

 

시험 문제라면

원자량 값이 주어지거나 또는

소수점 몇째 자리까지 원자량을 사용하라는

지문이 주어집니다.

 

① 만약 이런 지문이 있다면,

원자량 값을 유효숫자라 간주하고,

유효숫자 처리(계산)하면 됩니다.

 

② 만약 이런 지문이 없다면,

44.01 또는 44 중에서,

맘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981 ]

분자량 또는 몰질량의 유효숫자

 

 

 

[키워드] 몰질량의 유효숫자 기준, 분자량의 유효숫자 기준, 화학식량의 유효숫자 기준, 몰질량 유효숫자 기준, 분자량 유효숫자 기준, 화학식량 유효숫자 기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