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 M 약산 100 mL에 0.2 M NaOH 7.0 mL 가했을 때 pH
0.01 M 약산(pKa = 6.46) 100 mL에
0.2 M NaOH 용액 7.0 mL를 가했을 때의 pH를 구하시오.
------------------------
[참고] 약산-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6 ]
특별히 따로 설명 없으면,
약산 = CH3COOH와 같은 1가산.
0.01 M 약산 100 mL에 들어있는
약산의 몰수
= (0.01 mol/L) (100/1000 L)
= 0.001 mol
0.2 M NaOH 용액 7.0 mL에 들어있는
NaOH의 몰수
= (0.2) (7.0/1000)
= 0.0014 mol
NaOH도 1가 염기이므로,
약산 : NaOH = 1 : 1 반응.
---> 몰수가 더 큰 NaOH가 남는다.
[참고] 1 : 1 반응
CH3COOH + NaOH → CH3COONa + H2O
CH3COOH : NaOH = 1 : 1 계수비 이므로,
CH3COOH : NaOH = 1 : 1 반응한다.
0.0014 mol – 0.001 mol
= 0.0004 mol
---> 산-염기 중화 반응 후 남아있는 NaOH의 몰수
[참고] 당량점
① 당량점 이전: 약산의 몰수 > NaOH의 몰수
② 당량점: 약산의 몰수 = NaOH의 몰수
③ 당량점 이후: 약산의 몰수 < NaOH의 몰수
당량점 이후이므로,
남아있는 NaOH의 몰농도로 용액의 pH 계산.
NaOH의 몰농도 = 0.0004 mol / (107/1000 L)
= 0.003738 M
pH = 14 – (–log(0.003738))
= 11.57
답: 11.57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5937 ]
0.150 M 아세트산 35.0 mL에 0.150 M NaOH 35.5 mL 적정
[키워드] 약산-강염기 적정 기준
'일반화학 > [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M CH3COOH(aq) 2 M CH3COONa(aq) 각각 5 mL씩 (4) | 2025.06.12 |
---|---|
AgNO3 added to 0.02 M AsO4^3-, 0.02 M I^-, 0.02 M CO3^2- (1) | 2025.04.11 |
What is the molar solubility of BaF2 in 0.30 M NaF (2) | 2025.04.11 |
0.1 M CH3COOH(aq) 30 mL + 0.1 M NaOH(aq) pH 5.74 완충용액 (5) | 2025.04.01 |
0.2 M HA(aq) 1 M NaA(aq) buffer [H^+] 2×10^(-5) M (6) | 2025.03.23 |
NiS(s)의 Ksp와 [Ni(en)3]^2+의 Kf. 0.1 M en 용액 평형에서 S^2- 농도 (0) | 2025.01.11 |
0.10 M HA 60 mL 0.10 M NaOH x mL 혼합 pH 4.0 (2) | 2025.01.01 |
난용성 염의 선택적 침전. PbI2(s)와 Hg2I2(s) (2) | 2024.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