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전달계수와 산소 전달률(kg O2/hr) 계산
포기조의 유효용적이 10 m3이고, 수온이 10℃일 때 산소전달계수(K_10)는 5 hr^-1이고, 이 포기조의 수온이 20℃로 상승했을 때 20℃ 기준의 포화용존산소농도(C_s)는 9 mg/L, 실제 DO 농도는 3 mg/L라고 한다. 온도보정계수(θ)는 1.024라고 할 때, 20℃ 기준의 산소전달률(kg O2/hr)을 구하시오.
------------------------
1) 20℃ 산소전달계수(K_20) 계산
K_T2 = K_T1 × θ^(T2 – T1)
K_20 = K_10 × θ^(20 – 10)
= (5 /hr) × 1.024^(20 – 10)
= 6.338 /hr
2) 20℃ 산소전달률(OTR) 계산
OTR = K × V × (C_s – C_L)
> K: 산소전달계수
> V: 포기조의 유효용적
> C_s: 포화용존산소농도
> C_L: 실제 DO 농도
농도의 단위가 mg/L인데,
① 포기조의 유효용적의 단위가 m3이므로,
농도의 부피 단위는 m3로 통일하고,
②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가
kg O2/hr이므로,
농도의 질량 단위는 kg으로 환산한다.
(1 mg/L) (1 kg / 10^6 mg) (1000 L / 1 m3)
= (1) (1 / 10^6) (1000)
= 0.001 kg/m3
---> 1 mg/L = 0.001 kg/m3
OTR_20 = K_20 × V × (C_s – C_L)
= (6.338 /hr) × (10 m3) × [(9 – 3 mg/L) × (0.001 kg/m3 / 1 mg/L)]
= (6.338) × (10) × [(9 – 3) × (0.001)]
= 0.3803 kg/hr
답: 약 0.38 kg O2/hr
[키워드] 산소 전달계수 기준, 산소 전달률 기준, 산소 전달계수 사전, 산소 전달률 사전
'공학&기술 > 수질환경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2차 처리 폐수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 (2) | 2025.06.24 |
---|---|
10000 m3/day 폐수를 BOD 4 mg/L인 4000000 m3/day 하천에 방류 (4) | 2025.05.13 |
완전혼합 반응조(CSTR)에서 체류시간(hr) (1) | 2025.05.12 |
부유물질(SS) 1312 mg/L 여과 전 유리섬유여지 1.2113 g 시료량 100 mL (3) | 2025.04.10 |
폐수 알칼리도 CaCO3 2×10^(-3) M 납 농도 100 mg/L 소석회 Ca(OH)2 투입 (7) | 2025.02.01 |
6% NaCl의 몰농도. 6% NaCl의 M농도 (2) | 2024.12.23 |
0.04 M HCl이 30% 해리되어 있는 수용액의 pH (2) | 2024.12.23 |
0.00025 M NaCl 용액의 농도(ppm) (0) | 2024.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