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산-강염기 중화 적정. 0.200 M HClO4 40.0 mL + 0.100 M KOH
KOH의 양을 다음과 같이 첨가했을 때, 용액의 pH 계산.
a) 0 mL
b) 10 mL
c) 40 mL
d) 80 mL
e) 100 mL
------------------------------------------
a) 적정 전.
HClO4는 강산이므로, [HClO4] = [H+]
pH = -log[H+] = -log(0.2) = 0.699
0.2 M HClO4 40 mL에 들어있는 HClO4의 몰수
= (0.2 mol/L) * 0.040 L = 0.008 mol H+
b) KOH는 강염기이므로, [KOH] = [OH-]
0.1 M KOH 10 mL에 들어있는 KOH의 몰수
= (0.1 mol/L) * 0.010 L = 0.001 mol OH-
이만큼 산이 중화되므로, 남아있는 산의 몰수는
0.008 – 0.001 = 0.007 mol H+
이때 용액의 부피는
40 + 10 = 50 mL 이므로, 산의 몰농도는
0.007 mol / 0.050 L = 0.14 M H+
따라서 pH = -log(0.14) = 0.854
c) 0.1 M KOH 40 mL에 들어있는 KOH의 몰수
= 0.1 * 0.040 = 0.004 mol OH-
이만큼 산이 중화되므로, 남아있는 산의 몰수는
0.008 – 0.004 = 0.004 mol H+
이때 용액의 부피는
40 + 40 = 80 mL 이므로, 산의 몰농도는
0.004 / 0.080 = 0.05 M
따라서 pH = -log(0.05) = 1.301
d) 0.1 M KOH 80 mL에 들어있는 KOH의 몰수
= 0.1 * 0.080 = 0.008 mol OH-
이만큼 산이 중화되므로, 남아있는 산의 몰수는
0.008 – 0.008 = 0 mol H+
따라서 산은 염기에 의해 완전히 중화되므로, pH = 7
e) 0.1 M KOH 100 mL에 들어있는 KOH의 몰수
= 0.1 * 0.100 = 0.01 mol OH-
염기의 몰수는 산의 몰수보다 크다(많다).
따라서 중화 반응 후 염기가 남는다. 남아있는 염기의 몰수는
0.01 - 0.008 = 0.002 mol OH-
이때 용액의 부피는
40 + 100 = 140 mL 이므로, 염기의 몰농도는
0.002 / 0.140 = 0.0143 M OH-
pOH = -log[OH-] = -log(0.0143) = 1.845
따라서 pH = 14 – pOH = 14 – 1.845 = 12.155
[보충설명]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강산-강염기 적정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체의 몰질량, 몰부피, 밀도 (1) | 2015.11.25 |
---|---|
4.0×5.0×2.5 m 공간에서 산소 기체의 전체 질량은 몇 g인가 (0) | 2015.11.25 |
36% 염산 (d=1.18) 100 mL를 10% 염산으로 만들기 (0) | 2015.11.24 |
결합해리 에너지를 사용하여 부탄의 연소열 계산 (0) | 2015.11.24 |
95% 황산으로 1 M H2SO4 용액 100 mL 만들기 (2) | 2015.11.23 |
0.10 M NaOH 용액에서 Ca(OH)2의 용해도곱상수 (0) | 2015.11.23 |
다음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의 이름과 화학식을 쓰시오 (0) | 2015.11.23 |
pH 3.50 완충용액 선택과 제조 (1) | 2015.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