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ox 2AgNO3 + Mg → Mg(NO3)2 + 2Ag
redox 2AgNO3 + Mg → Mg(NO3)2 + 2Ag
[참고] redox 2AgNO3 + Mg → Mg(NO3)2 + 2Ag
[ https://ywpop.tistory.com/16751 ]
▶ 분자 반응식
Mg(s) + 2AgNO3(aq) → Mg(NO3)2(aq) + 2Ag(s)
▶ 알짜 이온 반응식
Mg(s) + 2Ag^+(aq) → Mg^2+(aq) + 2Ag(s)
[주의]
Mg(s) + 2AgNO3(aq) → Mg^2+(aq) + 2NO3^-(aq) + 2Ag(s)
반응식을 이렇게 쓰면 절대로 안 된다.
AgNO3(aq), Mg(NO3)2(aq),
둘 다 가용성염이므로,
즉, 둘 다 수용액 상태이므로,
2AgNO3(aq) → Mg(NO3)2(aq)
이렇게 표기하거나, 아니면,
2Ag^+(aq) + 2NO3^-(aq) → Mg^2+(aq) + 2NO3^-(aq)
이렇게 표기해야 한다.
즉, 둘 다 분자 상태로 나타내든,
둘 다 이온 상태로 나타내든,
동일하게 표시해 주어야 한다.
1. 금속의 반응성: Mg > Ag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95 )
2. 산화 반응식
> Mg + 2NO3^- → Mg(NO3)2 또는
> Mg → Mg^2+ + 2e^-
3. 환원 반응식
> 2AgNO3 → 2Ag + 2NO3^- 또는
> 2Ag^+ + 2e^- → 2Ag
4. 화학 반응을 전체 반응식으로 나타내시오.
산화수 변화가 있는 원자는 산화수 변화를 나타내시오.
전체 반응식을 나타내는 방법
① 분자 반응식
Mg + 2AgNO3 → Mg(NO3)2 + 2Ag
② 완전 이온 반응식
Mg + 2Ag^+ + 2NO3^- → Mg^2+ + 2NO3^- + 2Ag
분자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Mg ---> Mg(NO3)2
이렇게 연결하고, “산화수 2 증가”.
> Mg의 산화수 = 0
> Mg(NO3)2에서 Mg의 산화수 = +2
2AgNO3 ---> 2Ag
이렇게 연결하고, “산화수 1 감소”.
> AgNO3에서 Ag의 산화수 = +1
> Ag의 산화수 = 0
※ NO3에서 산화수가 변한 원자는 없으므로,
NO3의 산화수는 나타낼 필요가 없다.
※ 연결하는 화살표의 시작과 끝 위치를
산화수가 변한 원자의 중심에 맞추어도 된다.
[키워드] redox Mg + AgNO3, redox AgNO3 + Mg, redox Mg + Ag^+, redox Ag^+ + 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