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2+ 함유 산성 수용액 pH를 11로 증가 Cd^2+ 농도(mg/L)
Cd^2+ 함유 산성 수용액 pH를 11로 증가 Cd^2+ 농도(mg/L)
1. Cd^2+를 함유하는 산성수용액의 pH를 증가시키면 침전이 생긴다.
pH를 11로 증가시켰을 때 Cd^2+ 농도(mg/L)는?
(단, Cd(OH)2의 Ksp = 4×10^(-14),
원자량은 Cd = 112, O = 16, H = 1,
기타 공존이온의 영향이나 착염에 의한 재용해도는 없는 것으로 본다.)
① 3.12×10^(-3)
② 3.46×10^(-3)
③ 4.48×10^(-3)
④ 6.29×10^(-3)
---------------------------------------------------
Cd(OH)2(s) ⇌ Cd^2+(aq) + 2OH^-(aq)
Ksp = [Cd^2+] [OH^-]^2 = (s) (2s)^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pH = 11 이므로,
pOH = 14 – 11 = 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pOH = –log[OH^-] = 3 이므로,
[OH^-] = 10^(-3) M
Ksp = (s) (2s)^2
4×10^(-14) = (s) (2s + 10^(-3))^2
2s <<< 10^(-3) 이므로,
2s + 10^(-3) ≒ 10^(-3) 이라 근사처리하면,
4×10^(-14) = (s) (10^(-3))^2
s = (4×10^(-14)) / (10^(-3))^2
= 4×10^(-8) M = [Cd^2+]
Cd^2+의 몰질량 = 112 g/mol 이므로,
(4×10^(-8) mol/L) (112 g/mol) (1000 mg / 1 g)
= (4×10^(-8)) (112) (1000)
= 0.00448 mg/L
답: ③ 4.48×10^(-3)
[키워드] Cd(OH)2의 Ksp 기준, Cd(OH)2의 몰용해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