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좋은 습관
검색하기

블로그 홈

좋은 습관

ywpop.tistory.com/m

화학1, 화학2, 일반화학 강의노트, 환경기사, 화공기사 기출문제 해설

구독자
811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티스토리 자체 광고 모두보기
반응형

주요 글 목록

  • 16.4 g 아연이 염산과 반응 STP 생성되는 수소 기체 부피 16.4 g 아연이 염산과 반응 STP 생성되는 수소 기체 부피 Zinc metal reacts with hydrochloric acid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Zn(s) + 2HCl(aq) → ZnCl2(aq) + H2(g)What volume of hydrogen gas is produced at STPwhen 16.4 g of zinc is used in the reaction? 아연 금속이 염산과 반응할 때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Zn(s) + 2HCl(aq) → ZnCl2(aq) + H2(g)16.4 g의 아연을 염산과 반응시켰을 때,STP에서 생성되는 수소 기체의 부피는 얼마인가? ------------------------ Zn.. 공감수 4 댓글수 5 2025. 5. 8.
  • CaCO3 1 g 완전 반응에 필요한 0.1 M HCl(aq)의 부피(L) CaCO3 1 g 완전 반응에 필요한 0.1 M HCl(aq)의 부피(L)단, CaCO3의 화학식량은 100 ------------------------ 1 g CaCO3의 몰수를 계산하면,1 g / (100 g/mol) = 0.01 mol CaCO3(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탄산칼슘과 염산의 화학 반응식CaCO3 + 2HCl → CaCl2 + CO2 + H2O CaCO3 : HCl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0.01 mol CaCO3와 반응하는HCl의 몰수를 계산하면,CaCO3 : HCl = 1 : 2 = 0.01 mol : ? mol ? = 2 × 0.01 = 0.02 mol HCl 0.02 mol HC..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5. 8.
  • Find the amount in millimoles of the indicated species Find the amount in millimoles of the indicated species 다음 표시된 화학종들의 밀리몰수를 구하시오.Find the amount in millimoles of the indicated species ina) 850 mg P2O5b) 40.0 g CO2c) 12.92 g NaHCO3d) 57 mg MgNH4PO4 ------------------------ [참고] 질량을 몰수로n = W / M[ https://ywpop.tistory.com/7738 ] [참고] 몰질량 계산[ https://ywpop.tistory.com/18326 ] a) 850 mg P2O5P2O5의 몰질량 = 141.94 g/mol 이므로,> 141.94 g..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4. 26.
  • 4Na + O2 → 2Na2O 반응식 설명 4Na + O2 → 2Na2O 반응식 설명 ------------------------ > 나트륨(소듐) 금속의 화학식: Na> Na는 원자가 아닌 원소임에 주의할 것.(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50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586 ) > 산소 분자의 화학식: O2> 산소는 O 원자가 아닌 O2 분자로 존재.(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395 ) > 산화나트륨의 화학식: Na2O (불균형) 화학 반응식Na + O2 → Na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3902 ) 1) O의 개수를 균형 맞추면,Na + O2 → 2Na2O 2) Na의 개수를 균.. 공감수 4 댓글수 5 2025. 4. 19.
  •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몰수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몰수 ------------------------ FeCl3의 몰질량 = 162.2040 ≒ 162.20 g/mol 이고,Cl의 몰질량 = 35.4530 ≒ 35.45 g/mol 이므로,(7.75 g FeCl3) (3 × 35.45 g Cl / 162.20 g FeCl3)= (7.75) (3 × 35.45 / 162.20)= 5.08 g Cl--->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질량 Cl의 몰질량 = 35.45 g/mol 이므로,5.08 g Cl × (1 mol / 35.45 g)= 0.143 mol Cl--->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몰수 답: 0.143 mol ..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4. 14.
  • 에탄올 1몰 표준상태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L) 에탄올 1몰 표준상태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L) 에탄올 1몰이 표준상태에서 완전연소하기 위해필요한 공기량은 약 몇 L인가?(단, 공기 중 산소의 부피는 21 vol%이다.)① 122② 244③ 320④ 410 ------------------------ 에탄올 연소 반응식C2H5OH + 3O2 → 2CO2 + 3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42 ) C2H5OH : O2 = 1 : 3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C2H5OH 1 mol 연소에 필요한O2의 몰수 = 3 mol 표준상태에서,기체 1 mol = 22.4 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3 mol O2의 부피= 3 .. 공감수 2 댓글수 3 2025. 4. 14.
  • 0.1 mol NaOH의 질량(g) 0.1 mol NaOH의 질량(g)     수산화나트륨 시약의 0.1몰에 해당하는 질량은?   ------------------------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W = n × M= 0.1 mol × (40 g/mol)= 4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4 g         [키워드] 화학량론 기준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4. 11.
  • 9 g 물의 몰수와 수증기일 때의 부피 9 g 물의 몰수와 수증기일 때의 부피단, 0℃, 1기압 조건   ------------------------   물, H2O의 몰질량 = 18 g/mol 이므로,9 g / (18 g/mol)= 0.5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0℃, 1기압에서,기체 1 mol의 부피 = 22.4 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0.5 mol × (22.4 L / 1 mol)= 11.2 L       답: 0.5 mol, 11.2 L         [키워드] 화학량론 기준 공감수 2 댓글수 2 2025. 4. 8.
  • 미정계수법. H2O2 → H2O + O2 미정계수법. H2O2 → H2O + 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H2O2 → bH2O + cO2   > H의 개수: 2a = 2b ... (1)> O의 개수: 2a = b + 2c ... (2)       a = 1 이라 두면,from (1), b = 1   from (2), 2 = 1 + 2c2c = 1c = 1/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1> c = 1/2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b = 2> c = 1       aH2O2 → bH2O + cO2   2H2O2 → 2H2O + O2   ..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30.
  • 미정계수법. H2O2 → H2O + H2 미정계수법. H2O2 → H2O + H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H2O2 → bH2O + cH2   > H의 개수: 2a = 2b + 2c ... (1)> O의 개수: 2a = b ... (2)       a = 1 이라 두면,from (2), b = 2   from (1), 2 = 4 + 2c2c = –2c = –1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2> c = –1       aH2O2 → bH2O + cH2   H2O2 → 2H2O + –H2 또는–H2O2 → –2bH2O + H2---> 계수가 (–)인 반응은 없다.---> 이런 반응은 존재하지 않..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30.
  • 미정계수법. CO + O2 → CO2 미정계수법. CO + O2 → CO2미정계수법. (_)CO + (_)O2 → 2C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CO2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개수가“C 원자 1개, O 원자 2개”라는 것과그래서 2CO2가, 전체적으로,“C 원자 2개, O 원자 4개”라는 것을알고 있는 학생이라면,(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68 )   일부 물질의 계수가 주어진 이런 문제는실제 시험에는 나올 수도 없는아주 쉬운 문제이다.       (_)CO + (_)O2 → 2CO2 반응식에서,분자를 “레고 블록으로 만든 장난감”,원자를 “레고 블록”이라 생각해 보자.     .. 공감수 2 댓글수 3 2025. 3. 27.
  • O2 11.2 L의 질량과 같은 He의 부피 O2 11.2 L의 질량과 같은 He의 부피단, 0℃, 1기압 조건.   ------------------------   [참고] 환산 인자. 단위 소거법[ https://ywpop.tistory.com/3121 ]       [기체의 부피를 기체의 몰수로 환산]0℃, 1기압에서,기체 1 mol의 부피 = 22.4 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11.2 L O2의 몰수= 11.2 L × (1 mol / 22.4 L)= 0.5 mol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0.5 mol O2의 질량= 0.5 mol × (32 g / 1 mol)= 16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24.
  • 0.0050 g/L K2CrO4 속 CrO4^2- 이온의 g/L 농도 0.0050 g/L K2CrO4 속 CrO4^2- 이온의 g/L 농도0.0050 g K2CrO4 속 CrO4^2- 이온의 질량(g)화합물 속 이온의 질량   ------------------------   > K2CrO4의 몰질량 = 194.19 g/mol> CrO4^2-의 몰질량 = 115.99 g/mol       0.0050 g K2CrO4 × (115.99 g CrO4^2- / 194.19 g K2CrO4)= 0.0050 × (115.99 / 194.19)= 0.0029865---> 유효숫자 2개에 맞추면,= 0.0030 g       답: 0.0030 g/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2958 ]화학식과 조성 백분율       [키..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21.
  • 몰질량과 질량의 차이 몰질량과 질량의 차이질량과 몰질량의 차이   ------------------------   ▶ 몰질량(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13 )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어떤 물질(원자, 분자 등) 1 mol의 질량( 1 mol만큼의 질량 )   > 물질마다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값을 가진다.( 전자저울 등으로 측정할 필요가 없다. )   > 덜어낸 양에 상관없이(무관하게),물질의 몰질량 값은 같다(변하지 않는다).   > 기본 단위는 g/mol.       ▶ 질량> 가령, 어떤 물질을 약수저로한 스푼 또는 두 스푼 덜어낸 질량   > 전자저울 등으로 측정해야 값을 알 수 있다.   > 덜어낸 양에 따라,물질의 질량 값은 달라진다(변한다).   > 기본 단위는 g.   ..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3. 19.
  • 탄소 원자의 몰질량 12 g/mol 탄소 원자의 몰질량 12 g/mol   ------------------------   1) 탄소-12 원자 1개의 질량 = 12 amu( 참고 https://ywpop.tistory.com/6741 )       2) 탄소-12 원자 6.022×10^23 개의 질량 = 12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6.022×10^23 개 = 1 mol 이므로,3) 탄소-12 원자 1 mol의 질량 = 12 g---> 탄소-12 원자의 몰질량 = 12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13 )         [키워드] 탄소의 몰질량 기준, 탄소의 몰질량 사전, 탄소 원자의 몰질량 기준, 탄소 원자의 몰질량 사전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3. 19.
  • 질량 보존의 법칙과 물질의 상태 질량 보존의 법칙과 물질의 상태   ------------------------   [참고] 질량 보존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16676 ]   질량 보존의 법칙은물질의 상태와 무관하다.(물질의 상태변화와 무관하다.)       (닫힌계에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80 )   반응(변화) 전/후,물질의 상태가 변해도,질량은 보전된다.       얼음 100 g이 녹으면,물 100 g이 되고,H2O(s) → H2O(l)   물 100 g을 가열시키면,수증기 100 g이 된다.H2O(l) → H2O(g)         [키워드] 질량 보존의 법칙 기준, 질량 보존 법칙 기준 공감수 5 댓글수 8 2025. 3. 2.
  •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Al + bH2O → cAl(OH)3 + dH2   > Al의 개수: a = c ... (1)> H의 개수: 2b = 3c + 2d ... (2)> O의 개수: b = 3c ... (3)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3), b = 3   from (2), 6 = 3 + 2d2d = 3d = 3/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3> c = 1> d = 3/2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 공감수 2 댓글수 1 2025. 2. 27.
  •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분자량과 1 g당 분자 수   ------------------------   이런 게 이해가 안 되면,그냥 한 번 계산해 보는 겁니다.       가령,H2O의 몰질량(= 분자량) = 18 g/mol 이고,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참고: 몰질량 https://ywpop.tistory.com/11196 )       1 g H2O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18 g) (6×10^23 개 / 1 mol)= (1) (1 / 18) (6×10^23)= 3.33×10^22 개---> H2O 1 g당 H2O 분자의 수       1 g CO2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44 g) (6×10^23 개 / 1 mol)..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2. 23.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   CH4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4 g CH4의 몰수= 4 g / (16 g/mol)= 0.25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개 CH4 분자 속에 들어있는전체 원자 수는 5개이므로,전체 원자의 몰수= (0.25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1.25 mol 원자       1 mol = 6.022×10^23 개 = N_A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1.25 mol 원자) × (N_A / 1 mol)= 1.25N_A 원자     ..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2. 22.
  •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C2H4 가스와 O2 가스가 반응하여CO2와 H2O가 생성되는 반응에서,28 g의 C2H4와 128 g의 O2가 반응하여생성되는 CO2가 70.4 g 얻어졌다면반응의 수득률(%)은?   ------------------------   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28 g의 C2H4의 몰수= 28 g / (28 g/mol)= 1 mol C2H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128 g의 O2의 몰수= 128 / 32= 4 mol O2       C2H4 연소 반응식C2H4 + 3O2 → 2.. 공감수 4 댓글수 7 2025. 2. 19.
  •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   ------------------------   NaCl은 이온결합 화합물이므로,아래 그림과 같은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다.         1 mol = 6.022×10^23 개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1 mol NaCl 속에는(Na^+) (Cl^-), 요런 이온쌍이6.022×10^23 개 들어있다.즉, NaCl이 6.022×10^23 개 들어있다.       따라서1 mol NaCl 속에는Na^+ 이온이 1 mol,Cl^- 이온이 1 mol 해서,전체 이온은 2 mol 들어있다.       따라서1 mol NaCl에 포함된 전체 이온 수는2 mol × (6.022×10^23 개 / 1 mo..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2. 17.
  •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앞 문제에서 x = 3 으로 결정되었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1287 )   탄화수소 연소 반응식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26 )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2(탄화수소) + 7O2 → yCO2 + 6H2O       탄화수소 = CaHb 라 두면,2CaHb + 7O2 → yCO2 + 6H2O       C의 개수: 2a = y ... (1)   H의 개수: 2b = 12.. 공감수 5 댓글수 7 2025. 2. 14.
  •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탄화수소나 알코올은산소와 반응(연소)하면,CO2와 H2O가 생성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26 )       C2H5OH + xO2 → 2(___) + xH2O   C2H5OH + xO2 → 2CO2 + xH2O       C의 개수는 맞다.   H의 개수: 6 = 2x---> x = 3       (완성된) 에탄올 연소 반응식C2H5OH + 3O2 → 2CO2 + 3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99 )    .. 공감수 1 댓글수 2 2025. 2. 14.
  • 분자의 몰수와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와 원자의 몰수         H2O 분자 1개는H 원자 2개와O 원자 1개로 이루어져 있다.     H2O 분자 1개 속에는H 원자 2개와O 원자 1개가 들어있다.---> H2O 분자 1개 속에는총 3개의 원자가 들어있다.     H2O 분자 1 mol 속에는H 원자 2 mol과O 원자 1 mol이 들어있다.---> H2O 분자 1 mol 속에는총 3 mol의 원자가 들어있다.       예1) 1 mol H2O 분자에 들어있는전체 원자는 몇 mol인가?   전체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 × 전체 원자의 개수= 1 mol × 3개= 3 mol     예2) 2.5 mol H2O 분자에 들어있는전체 원자는 몇 mol인가?   전체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 × 전체 원자의 개수= .. 공감수 2 댓글수 4 2025. 2. 1.
  • 전체 원자의 몰수 =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 전체 원자의 몰수 =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전체 원자수 = 원자의 몰수 × N_A전체 원자의 개수 = 원자의 몰수 × N_A   ------------------------   가령, 1 mol CH4 분자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의 몰수는CH4 1개 분자당 원자수 = 5개 이므로,(1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5 mol 원자     또는 간단히,전체 원자의 몰수= 분자의 몰수 × 분자당 원자수= 1 mol × 5 = 5 mol       N_A = 6.022×10^23 개/mol 이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원자의 몰수 = 5 mol 이므로,전체 원자수(원자의 개수)를 계산하면,전체 원자수= 원자의 몰수 × N_A= 5 m.. 공감수 1 댓글수 1 2025. 1. 29.
  • 원자 1개의 질량. 원자량 / N_A 계산 원자 1개의 질량. 원자량 / N_A 계산물질 1개의 질량. 몰질량 / N_A 계산   ------------------------   단위가 없는 원자의 질량, 또는단위가 amu인 원자의 질량은그 원자 1개의 실제 질량이 아니다.( 참고: amu https://ywpop.tistory.com/6741 )   원자량 척도의 기준인탄소 원자(C) 1개의 질량을 12 라 가정하고 계산한그 원자의 상대적인 질량이다.( 참고: 기준 원자량 https://ywpop.tistory.com/8023 )       단위가 없는 물질의 질량은그저 이론상에서나 따지는 것이고,이런 문제와 같이실제 우리가 따지는 물질의 질량은g과 같은 단위가 있는 질량이다.       단위가 있는 원자의 질량, 또는단위가 g인 원자의.. 공감수 0 댓글수 1 2025. 1. 28.
  • H2O 1개의 질량은 18 / N_A H2O 1개의 질량은 18 / N_A   ------------------------   > N_A = 6.022×10^23 개/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 H2O의 몰질량 = 18 g/mol       물질의 몰질량 / N_A= 물질 1개의 질량       18 / N_A= (18 g/mol) / (6.022×10^23 개/mol)= 2.989×10^(-23) g/개---> H2O 분자 1개의 질량 = 2.989×10^(-23) g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238 ]물질 1개의 질량. 물질의 몰질량 / N_A       [키워드] 18 / N_A 기준, 몰질량 / N_A 기준 공감수 2 댓글수 5 2025. 1. 27.
  • n그램 금속 염산 m몰 수소 발생 금속 원자가 2가 n그램 금속 염산 m몰 수소 발생 금속 원자가 2가     n그램(g)의 금속을 묽은 염산에 완전히 녹였더니m몰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를2가로 하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   예를 들어 설명하면이해하기 더 쉽다.---> 금속의 원자가 = 2가 이므로,금속 = Mg 라 가정해보자.       Mg와 HCl의 반응식Mg(s) + 2HCl(aq) → MgCl2(aq) + H2(g)( 참고 https://ywpop.tistory.com/24551 )   Mg : H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발생한 H2의 몰수 = 반응시킨 Mg의 몰수 = m몰       따라서 금속의 몰질량(g/mol)은n / m 이 된다.( 참고 http.. 공감수 7 댓글수 10 2025. 1. 25.
  • 1.0 g의 몰수가 2.27×10^(-2) mol인 화합물 1.0 g의 몰수가 2.27×10^(-2) mol인 화합물     For which of the following compoundsdoes 1.0 g represent 2.27×10^(-2) mol?a. H2O b. CO2 c. NH3 d. C2H6     어떤 화합물 1.0 g은2.27×10^(-2) mol을 나타낼 때다음 중 이 화합물은 무엇인가? a. H2O b. CO2 c. NH3 d. C2H6   ------------------------   화합물의 몰질량(g/mol)을 계산하면,1.0 g / (2.27×10^(-2) mol)= 44.05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CO2의 몰질량 = (12) + 2(16) = 44 g/mo.. 공감수 6 댓글수 7 2025. 1. 24.
  • 미정계수법. C + O2 → CO2 미정계수법. C + O2 → CO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C + bO2 → cCO2       > C의 개수: a = c ... (1)> O의 개수: 2b = 2c ... (2)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2), b = 1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1> c = 1       따라서 균형 맞춘 반응식은C + O2 → CO2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1230 ]미정계수법. Cu + O2 → CuO       [키워드] 미정계수법 C + O2 .. 공감수 6 댓글수 7 2025. 1. 24.
    반응형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