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구리(Cu)가 전이원소(전이금속)인 이유
영원파란
2016. 3. 8. 08:41
728x170
구리(Cu)가 전이원소(전이금속)인 이유
Cu의 바닥상태 전자배치는 [Ar] 4s^1 3d^10 으로
d 오비탈에 전자가 모두 채워져 있는데 왜 전이 원소인가요?
-----------------------------------------
전이원소의 특징: d 오비탈 또는 f 오비탈에 전자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Cu가 전이금속인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째, (n+l) 규칙에 따른, 원래 Cu의 전자배치에서는
d 오비탈에 전자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 (n+l) 규칙에 따른, 원래 Cu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
4s |
|
3d | ||||
Cu : [Ar] |
↑↓ |
|
↑↓ |
↑↓ |
↑↓ |
↑↓ |
↑ |
▶ d 오비탈이 절반 혹은 완전히 채워질 때, 더 안정하기 때문에,
4s 전자 1개가 3d로 이동한 Cu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
4s |
|
3d | ||||
Cu : [Ar] |
↑ |
|
↑↓ |
↑↓ |
↑↓ |
↑↓ |
↑↓ |
둘째, Cu는 전자를 1개 잃은 +1가 양이온과
전자를 2개 잃은 +2가 양이온이 되어 각각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전자를 2개 잃은 +2가 화합물에서, 예, Cu(OH)2에서,
Cu의 전자배치를 보면,
|
4s |
|
3d | ||||
Cu^2+ : [Ar] |
|
|
↑↓ |
↑↓ |
↑↓ |
↑↓ |
↑ |
d 오비탈에 전자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Cu는 전이금속의 특징을 가지므로,
전이 금속에 해당됩니다.(포함시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