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으로 측정한 비산먼지의 농도
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으로 측정한 비산먼지의 농도
39. 외부로 비산 배출되는 먼지를
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으로 측정한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비산먼지의 농도는?
> 대조위치의 먼지농도: 0.15 mg/m3
> 채취먼지량이 가장 많은 위치의
먼지농도: 4.69 mg/m3
> 전 시료채취 기간 중
주 풍향이 90° 이상 변했으며,
풍속이 0.5 m/s 미만 또는 10 m/s 이상
되는 시간이 전 채취시간의 50% 미만이었다.
① 4.54 mg/m3
② 5.45 mg/m3
③ 6.81 mg/m3
④ 8.17 mg/m3
비산먼지의 농도, C_m
C_m = (C_H – C_B) × W_D × W_S
> C_H: 채취먼지량이 가장 많은 위치의 먼지농도
> C_B: 대조위치의 먼지농도
> W_D: 풍향 변화 범위에 따른 보정계수
> W_S: 풍속 변화 범위에 따른 보정계수
[참고] 풍향 변화 범위에 따른 보정계수
> 전 시료채취 기간 중 주 풍향이
① 90° 이상 변할 때: 1.5
② 45° ~ 90° 변할 때: 1.2
③ 45° 미만 변할 때 (변동 없을 때): 1.0
[참고] 풍속 변화 범위에 따른 보정계수
> 풍속이 0.5 m/s 미만 또는 10 m/s 이상 되는 시간이
① 전 채취시간의 50% 미만일 때: 1.0
② 전 채취시간의 50% 이상일 때: 1.2
C_m = (C_H – C_B) × W_D × W_S
= (4.69 – 0.15) × 1.5 × 1.0
= 6.81 mg/m3
답: ③ 6.81 mg/m3
[키워드] 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 기준, 고용량 공기 시료 채취법 기준, 비산먼지의 농도 기준, 비산먼지 농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