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 2 mg/L 100000 m3/day 하천 100 m3/day BOD 5000 mg/L 폐수 3 mg/L
BOD 2 mg/L 100000 m3/day 하천 100 m3/day BOD 5000 mg/L 폐수 3 mg/L
유량 100000 m3/day, BOD 2 mg/L인 하천에
유량 100 m3/day, BOD 5000 mg/L인 공장 폐수를
폐수처리시설로 유입하여 처리 후 하천으로 방류시키고자 한다.
완전히 혼합된 후 합류지점의 BOD를 3 mg/L 이하로 하고자 한다면
폐수처리시설의 BOD 제거율(%)은?
---------------------------------------------------
C1Q1 + C2Q2 = C3Q3
(A의 농도 × A의 유량) + (B의 농도 × B의 유량) = C의 농도 × C의 유량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687 )
(2) (100000) + (?) (100) = (3) (100000 + 100)
? = [(3) (100000 + 100) – (2) (100000)] / (100)
= 1003 mg/L
---> 처리 후 하천에 유입되는 BOD 농도 (= BOD_o)
BOD 5000 mg/L
---> 처리 전 하수처리장으로 들어가는 BOD 농도 (= BOD_i)
BOD 제거율, η = [1 – (BOD_o / BOD_i)]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829 )
= [1 – (1003 / 5000)] × 100
= 79.94%
답: 79.94%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0589 ] 20000 m3/day, BOD 2 mg/L 하천 500 m3/day, BOD 500 mg/L 공장 폐수
[키워드] BOD 제거율 기준문서, BOD 처리효율 기준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