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940

N2H4는 N2O4와 반응하여 질소기체와 물을 생성 N2H4는 N2O4와 반응하여 질소기체와 물을 생성 하이드라진(N2H4)은 사산화이질소(N2O4)와 다음과 같이 반응하여 질소 기체와 물을 생성한다. 2N2H4 + N2O4 → 3N2 + 4H2O 2.15×10^2 g의 N2H4와 2.30×10^2 g의 N2O4를 섞었을 때 위의 반응으로 얻을 수 있는 질소 기체의 질량(g)은 얼마인가?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계산하세요.) (원자량: H=1.008, N=14.01, O=16.00 amu) --------------------------------------------------- N2H4의 몰질량 = 2(14.01) + 4(1.008) = 32.05 g/mol N2O4의 몰질량 = 2(14.01) + 4(16.00) = 92.02 g/mol N2의 몰질량.. 2019. 9. 26.
35% w/v 과산화수소수로 1 ppm 용액 2 L 만들기 35% w/v 과산화수소수로 1 ppm 용액 2 L 만들기 --------------------------------------------------- 1 ppm = 1 mg/L ( 설명 https://ywpop.tistory.com/5345 ) 35% w/v 용액이라 가정하면, 35 g / 100 mL = 35000 mg / 0.1 L = 350000 mg/L ( % w/v 설명 https://ywpop.tistory.com/3164 ) 1 ppm 용액 2 L 제조에 필요한 35% 과산화수소수의 부피를 계산하면, MV = M’V’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2859 ) (350000 mg/L) (? L) = (1 mg/L) (2 L) ? = 2 / 350000 = 5.7.. 2019. 9. 26.
4% 용액 만들기. 5% 용액 + 3% 용액 100 mL 4% 용액 만들기. 5% 용액 + 3% 용액 100 mL 5% 용액을 3% 용액 100 mL에 얼마를 넣어야 4% 용액이 되는가? --------------------------------------------------- %농도는 따로 설명이 없는 한, 질량 백분율이므로, 용액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고, 용액 100 mL = 용액 100 g 으로 간주하고 계산하면,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8466 ) 혼합전 용질의 양 = 혼합후 용질의 양 M1V1 + M2V2 = M3V3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9420 ) 넣어야 할 5% 용액의 질량을 x라 두면, 5x + 3×100 = 4(x+100) 5x + 300 = 4x + .. 2019. 9. 25.
농도 환산. 0.05 M NaOH to mg/L 농도 환산. 0.05 M NaOH to mg/L     어떤 NaOH 용액의 농도가 0.05 M이다.이 농도를 mg/L 단위로 변경하면?     어떤 용액의 NaOH 농도가 0.05 M이다.이 농도를 mg/L 단위로 알맞게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     13. 어떤 용액의 NaOH 농도가 0.05M 이다.이 농도를 mg/L 단위로 알맞게 나타낸 것은 어느 것인가?(단, Na : 23)① 500 mg/L② 1,000 mg/L③ 2,000 mg/L④ 4,000 mg/L       0.05 M NaOH 용액= 0.05 mol NaOH / 1 L 용액(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용액의 농도 × 용액의 부피 = 용질의 양” 이므로,용액 1 L에 들어.. 2019. 9. 25.
100 pmol/μL 농도의 시약으로 20 pmol/μL 용액 500 μL 만들기 100 pmol/μL 농도의 시약으로 20 pmol/μL 용액 500 μL 만들기 --------------------------------------------------- MV = M’V’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2859 ) (100 pmol/μL) (? μL) = (20 pmol/μL) (500 μL) ? = (20) (500) / (100) = 100 μL 100 pmol/μL 시약 100 μ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500 μL 되도록(되게끔) DW를 가하면, 20 pmol/μL 용액 500 μL가 됩니다. 또는 100 pmol/μL 시약 100 μL + DW 400 μL, 이렇게 혼합해도 됩니다. 2019. 9. 25.
Cl2, HCl, F2, NaF, HF. 아르곤과 가장 가까운 끓는점을 갖는 화합물 Cl2, HCl, F2, NaF, HF. 아르곤과 가장 가까운 끓는점을 갖는 화합물 Cl2, HCl, F2, NaF, HF 이들 중 아르곤과 가장 가까운 끓는점을 갖는 화합물은 무엇인가? --------------------------------------------------- HCl, HF는 극성 공유결합 물질이고, NaF는 이온결합 물질이므로, 제외하면, 비극성 공유결합 물질인 Cl2, F2가 남는데, 이들 물질과 아르곤에 작용하는 주요 힘은 분산력이므로, 아르곤의 몰질량과 가장 가까운 F2가 아르곤과 가장 가까운 끓는점을 갖는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587 ) 답: F2 2019. 9. 25.
헤스법칙. N2O(g) + NO2(g) → 3NO(g) 반응엔탈피 계산 헤스법칙. N2O(g) + NO2(g) → 3NO(g) 반응엔탈피 계산 Determine the value of the enthalpy change, ΔH_rxn, for the reaction N2O(g) + NO2(g) → 3NO(g) (1) 2NO(g) → N2(g) + O2(g) ... ΔH = -181 kJ/mol (2) 2N2O(g) → 2N2(g) + O2(g) ... ΔH = -163 kJ/mol (3) NO(g) + 1/2 O2(g) → NO2(g) ... ΔH = -57 kJ/mol ---------------------------------------------------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2019. 9. 25.
2.34 g 질소로 암모니아와 하이드라진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소 2.34 g 질소로 암모니아와 하이드라진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소 암모니아(NH3)와 하이드라진(N2H4)은 질소와 수소로 구성된 이원자 화합물이다. 배수 비례 법칙에 근거하여 2.34 g의 질소로 암모니아와 하이드라진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소의 양은 각각 몇 g인지 계산하시오. Ammonia (NH3) and hydrazine (N2H4) are both binary compounds of nitrogen and hydrogen. Based on the law of multiple proportions, how many grams of hydrogen would you expect 2.34 g of nitrogen to combine with to yield ammonia? To yield hydrazin.. 2019. 9. 24.
랩잭, Lab Jack. 실험기구 받침대 랩잭, Lab Jack. 실험기구 받침대 서포트잭, Support Jack --------------------------------------------------- [키워드] 실험기구 기준문서 2019. 9. 24.
redox 2Al + 6HNO3 → 2Al(NO3)3 + 3H2 redox 2Al + 6HNO3 → 2Al(NO3)3 + 3H2 --------------------------------------------------- ▶ 분자 반응식 2Al + 6HNO3 → 2Al(NO3)3 + 3H2 구경꾼 이온인 NO3^-를 제거하면, ▶ 알짜 이온 반응식 2Al + 6H^+ → 2Al^3+ + 3H2 ▶ 반쪽 반응식 > 산화: 2Al → 2Al^3+ + 6e^- (Al의 산화수는 0에서 +3으로 증가, Al은 산화됨.) > 환원: 6H^+ + 6e^- → 3H2 (H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감소, H는 환원됨.)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9209 ] 8Al + 30HNO3 → 8Al(NO3)3 + 3NH4NO3 + 9H2O [키워드] r.. 2019.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