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2장] 고체 및 최신 소재52

나노 크기의 금속. Top-down & Bottom-up 나노 크기의 금속. Top-down & Bottom-up --------------------------------------------------- ▶ 참고: 나노입자 [ https://ywpop.tistory.com/2630 ] --------------------------------------------------- ▶ 나노 크기의 금속 > 1~100 nm 크기의 금속 입자 ▶ 2가지 제조 방법 > Top-down 방식과 Bottom-up 방식 ▶ Top-down 방식 > Top-down: 물리적(기계적) 방법. 분쇄. > 믹서기, 맷돌, 절구와 같은 원리로 큰 입자를 갈아서 작은 입자로 만드는 방법. > 분쇄장치의 물리적인 한계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 제조에 적합하다. > 분쇄시켜 나.. 2020. 9. 14.
아보가드로 수 계산. Ba bcc 502 pm 3.50 g/cm3 68% 아보가드로 수 계산. Ba bcc 502 pm 3.50 g/cm3 68% Barium metal crystallizes in a body-centered cubic lattice (the Ba atoms are at the lattice points only). The unit cell edge length is 502 pm, and the density of the metal is 3.50 g/cm3. Using this information, calculate Avogadro's number.[Hint: First calculate the volume (in cm3) occupied by 1 mole of Ba atoms in the unit cells. Next calculate the volume.. 2020. 9. 9.
제12장 고체 및 신소재. 목차 ★ 제12장 고체 및 신소재. 목차 Solids and Modern Materials --------------------------------------------------- ▶ 참고: 일반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971 ] --------------------------------------------------- 12.1 고체의 분류. Classification of Solids [ https://ywpop.tistory.com/3064 ] 결합 종류에 따른 고체의 분류 12.2 고체의 구조. Structures of Solids [ https://ywpop.tistory.com/5085 ] 고체의 구조와 결정 격자 (crystal lattice) [ https.. 2020. 8. 18.
그래핀의 구조와 전기 전도성. graphene 그래핀의 구조와 전기 전도성. graphene --------------------------------------------------- 그래핀의 구조는 벤젠의 구조가 확장된 것으로 보면 된다. ( 참고: π-공액구조 https://ywpop.tistory.com/9577 ) 또는 흑연의 층상구조에서 한 층의 구조와 동일하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64 ) 벤젠에서 π-전자는 이동이 가능하므로, 벤젠은 공명 구조를 가진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35 ) 벤젠의 π-전자는 한 개의 고리 내에서만 이동하지만, 그래핀의 π-전자는 그래핀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래핀은 전기를 잘 전도(전달.. 2020. 7. 28.
The molecular structure of aramid fibers The molecular structure of aramid fibers --------------------------------------------------- ▶ 아라미드(aramid). 아라미드 섬유. 고분자 섬유 > 총알도 뚫지 못하는 강도, > 500℃의 불 속에서도 타거나 녹지 않는 내열성, > 아무리 힘을 가해도 늘어나지 않는 뛰어난 인장강도를 가진 섬유. > 1970년대 초, 미국의 화학기업 듀폰(DuPont)이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 > 케블라(Kevlar): 미국 듀폰사의 아라미드 소재의 브랜드명.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Aramid ) ▶ Chemical formula > 고분자의 화학식은 반복 단위 (repeat unit or repe.. 2020. 7. 17.
고체의 띠 이론. 전도띠의 개념 고체의 띠 이론. 전도띠의 개념 --------------------------------------------------- 원자의 에너지 준위는또는 원자가 갖고 있는 전자의 에너지 준위는크게 바닥상태와 들뜬상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닥상태: 에너지 준위가 낮은 안정한 상태.> 들뜬상태: 에너지 준위가 높은 불안정한 상태. 금속의 경우,수많은 원자들이 금속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각각의 원자들의 에너지 준위는중첩되어 띠를 형성합니다.이 때문에바닥상태 에너지 준위를 원자가띠,들뜬상태 에너지 준위를 전도띠라고 부릅니다.( 관련 글: 고체의 띠 이론 https://ywpop.tistory.com/3467 ) 전자가 원자가띠에 존재하고 있으면,이것은 각각의 원자에 구속된 상태라 보면 되고,전자가 .. 2020. 2. 12.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 결정질과 비결정질 고체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 결정질과 비결정질 고체 결정성 SiO2(석영)와 비결정성 SiO2(유리) ▶ 참고: 고체의 구조와 결정 격자 (crystal lattice) [ https://ywpop.tistory.com/5085 ] A. 결정성(Crystalline) 고체 구성입자가 규칙적/반복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고체 예) 석영 [ 그림 출처 ] 결정성 SiO2 (석영) B. 비결정성(Amorphous) 고체 구성입자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있는 고체 예) 유리 [ 그림 출처 ] 비결정성 SiO2 (유리) [ 출처 commons.wikimedia.org ] SiO2 반복단위. SiO2 반복구조. [ 출처 commons.wikimedia.org ] Keatite의 결정구조. Keatite is a silicat.. 2020. 1. 19.
입방 단위 세포에 있는 원자의 개수 입방 단위 세포에 있는 원자의 개수 --------------------------------------------------- ▶ 금속성 구조 (Metallic Structure) > 금속(금속성 고체) 구조는 입방 단위 세포 중 하나와 일치한다. > 즉, 모든 금속 고체는 ① 원시(단순) 입방체 (simple cubic cell, scc), ② 체심 입방체 (body-centered cubic cell, bcc), ③ 면심 입방체 (face-centered cubic cell, fcc) 중 하나의 구조를 가진다. [ 그림 출처 Wikimedia ] cubic lattice. ▶ 단위 세포 내 원자의 위치에 따른 원자의 분율 > corner: 1/8 또는 12.5% > edge: 1/4 또는 25% >.. 2019. 11. 9.
금속 결정 392 pm 면심입방 밀도 21.45 g/cm3 금속 결정 392 pm 면심입방 밀도 21.45 g/cm3 어떤 금속 원소의 결정은 한 변이 392 pm인 면심입방 단위세포의 배열을 가지며 밀도는 21.45 g/cm^3이다. 이 금속의 원자량을 g/mol 단위로 구하고 원소 기호를 쓰시오. A metallic solid with atoms in a face-centered cubic unit cell with an edge length of 392 pm has a density of 21.45 g/cm^3. Calculate the atomic mass and the atomic radius of the metal and identify the metal. --------------------------------------------------- >.. 2019. 11. 9.
공유결합 물질의 끓는점 차이. 흑연과 다이아몬드의 높은 끓는점 공유결합 물질의 끓는점 차이. 흑연과 다이아몬드의 높은 끓는점 분자상태 물질의 끓는점과 원소상태 물질의 끓는점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 분자성 공유결합 물질의 끓는점과 원자성 공유결합 물질의 끓는점 차이가 많이 나는 이유 --------------------------------------------------- ▶ 참고: 제12장 고체 및 신소재.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82 ] --------------------------------------------------- 같은 공유결합이라도, 결합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984 ) H2O, NH3, CH4, CO2, N2, O2 등은 일반적인 공유결합으.. 2018. 4.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