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3981

SO2의 조성 백분율 SO2의 조성 백분율 > SO2의 몰질량 = (32) + 2(16) = 64 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 S의 조성 백분율 = [32 / 64] × 100 = 50% S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58 ) > O의 조성 백분율 = [2(16) / 64] × 100 = 50% O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5171 ] CO2의 조성 백분율 [키워드] SO2의 조성 백분율 기준 2024. 4. 11.
0.000 988 M KMnO4 21.08 mL 10.0 mL Ca^2+ mg 0.000 988 M KMnO4 21.08 mL 10.0 mL Ca^2+ mg Calcium levels in blood can be determined by adding oxalate ion to precipitate calcium oxalate, CaC2O4, followed by dissolving the precipitate in aqueous acid and titrating the resulting oxalic acid (H2C2O4) with KMnO4: 5H2C2O4(aq) + 2MnO4^-(aq) + 6H^+(aq) → 10CO2(g) + 2Mn^2+(aq) + 8H2O(l) How many milligrams of Ca^2+ are present in 10.0 mL of blood if.. 2024. 4. 11.
10.0 g KHCO3의 몰수 10.0 g KHCO3의 몰수 ① 물질의 몰질량을 계산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8326 ) ② 질량을 몰수로 환산한다. ( 참고: n=W/M https://ywpop.tistory.com/7738 ) ① KHCO3의 몰질량 = 100.12 g/mol 이므로, ② 10.0 g / (100.12 g/mol) = 0.09988 mol 답: 0.0999 mol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4733 ] 2.50 mol Ba(OH)2의 질량 [키워드] nw 기준, 질량을 몰수로 기준 2024. 4. 11.
아날로그 저울 A와 B로 동일한 물체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아날로그 저울 A와 B로 동일한 물체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아날로그 저울 A와 B로 동일한 물체의 질량을 측정한 결과, > 저울 A: 3.600×10^3 g > 저울 B: 3.60×10^3 g 성능이 더 우수한 저울은? [참고] 유효 숫자 (significant figure) [ https://ywpop.tistory.com/3212 ] ▶ 유효숫자의 정의 > 확실한 측정값의 자릿수에 추정(= 눈대중) 자릿수 하나를 더해서 표기한 값 ---> 추정(= 눈대중) 자릿수의 값 = 불확실한 값 > 저울 A: 3.600×10^3 = 3600 이고, > 저울 B: 3.60×10^3 = 3600 이다. 3.600×10^3 의 유효숫자 = 4개 이므로, 3.60까지는 확실한(정확한) 숫자이고, 끝자리 0은 오차가 포.. 2024. 4. 10.
0.05 M KIO3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KIO3의 질량(g) 0.05 M KIO3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KIO3의 질량(g) 요오드산칼륨 아이오딘산칼륨 > KIO3의 몰질량 = 214.00 g/mol [공식] 일정량(L)의 용액(M)에 들어있는 용질의 질량(g) = 용액의 몰농도(mol/L) × 용액의 부피(L) × 용질의 몰질량(g/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495 ) = (0.05 mol/L) (1 L) (214.00 g/mol) = (0.05) (1) (214.00) = 10.7 g 답: 10.7 g [키워드] mvmm 기준, 요오드산칼륨 용액의 몰농도 기준, 아이오딘산칼륨 용액의 몰농도 기준, KIO3 용액의 몰농도 기준 2024. 4. 10.
소다 한 캔은 12.0 fl oz 소다 한 캔은 12.0 fl oz 소다 한 캔은 12.0 fl oz이다. 몇 L인가? (1 L = 1000 mL) A can of soda contains 12.0 fl oz. What is the volume in liters? [참고] 부피 환산 [ https://ywpop.tistory.com/17461 ] 1 fl oz = 29.5735295625 m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blogspot.com/2023/12/common-light-beer-42-vv-alcohol.html ) (12.0 fl oz) (29.5735295625 mL / 1 fl oz) (1 L / 1000 mL) = (12.0) (29.5735295625) (1 / 1000) = 0.35488 L 답: 0... 2024. 4. 10.
redox Mg + H2O → Mg(OH)2 + H2 redox Mg + H2O → Mg(OH)2 + H2 redox Mg + 2H2O → Mg(OH)2 + H2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 https://ywpop.tistory.com/2719 ] ▶ 산화: Mg → Mg(OH)2 > Mg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증가. ---> Mg는 산화되었다. ( 참고: Mg(OH)2의 산화수 https://ywpop.blogspot.com/2023/09/mgoh2_13.html ) ▶ 환원: H2O → H2 > H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감소. ---> H2O는 환원되었다. ( 참고: H2O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24261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5832 ] 산화수가 증가.. 2024. 4. 10.
fathom 6 ft earth moon 250000 mile fathom 6 ft earth moon 250000 mile A fathom is a unit of length, usually reserved for measure the depth of water. A fathom is approximately 6 ft in length. Take the distance from Earth to the moon to be 250,000 miles, use the given approximation to find the distance in fathoms. [참고] 환산 인자 [ https://ywpop.tistory.com/3121 ] ▶ 환산 인자 > 1 fathom = 6 ft > 1 ft = 0.3048 m > 1 mi = 1609.344 m (250000 m.. 2024. 4. 10.
산성 양이온과 염기성 양이온 산성 양이온과 염기성 양이온 acidic cations and basic cations acid cations and base cations ▶ Ca^2+ 및 Mg^2+ 이온 수가 증가하면, pH가 증가한다. ---> 염기성 양이온 (basic cations) ▶ H^+ 및 Al^3+ 이온 수가 증가하면 pH가 감소한다. ---> 산성 양이온 (acidic cations) ▶ As the number of Ca^2+ and Mg^2+ ions decreases and the number of H^+ and Al^3+ ions increases, the pH drops. --------------------------------------------------- [보충설명] HCl, H2SO4, HNO3 .. 2024. 4. 9.
일산화이질소 분자와 질소 분자의 결합에너지 일산화이질소 분자와 질소 분자의 결합에너지 N2O와 N2의 결합차수 일산화이질소(N2O) 분자와 질소(N2) 분자 중에서 질소 원자 사이의 결합 에너지가 더 큰 것은? 답: 질소(N2) 분자 [이유] > 다중 결합일수록 (결합 차수가 클수록), 결합 에너지가 더 크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58 ) > 질소(N2) 분자에서 질소 원자 사이는 3중결합 (결합차수가 3)이다. > 일산화이질소(N2O) 분자에서 질소 원자 사이는 공명구조를 갖는 3중결합 (결합차수가 2.73)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363 ) > 질소(N2) 분자에서 질소 원자 사이의 결합 차수가 더 크므로, 질소 원자 사이의 결합 에너지가 더 크다. [ 관련 글 h.. 2024. 4.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