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05장] 열화학424 –20℃ 얼음 1 kg을 100℃ 수증기로 (kJ) –20℃ 얼음 1 kg을 100℃ 수증기로 (kJ) --------------------------------------------------- ▶ 참고: 열용량과 비열 [ https://ywpop.tistory.com/2897 ] ▶ 얼음의 비열 = 2.09 J/g•℃ ▶ 물의 비열 = 4.18 J/g•℃ ▶ 수증기의 비열 = 1.84 J/g•℃ ▶ 얼음의 융해 잠열 = 333.61 J/g ▶ 물의 증발 잠열 = 2257.56 J/g --------------------------------------------------- 1) –20℃ 얼음을 0℃ 얼음으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 q = C m Δt = (2.09 J/g•℃) (1000 g) (20 ℃) = 41800 J 2) 0℃ 얼음을 0℃ 물로 바.. 2021. 5. 26. –10.0℃ 40.0 g 얼음을 110℃ 수증기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 –10.0℃ 40.0 g 얼음을 110℃ 수증기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 --------------------------------------------------- ▶ 참고: 열용량과 비열 [ https://ywpop.tistory.com/2897 ] ▶ 얼음의 비열 = 0.5 cal/g•℃ ▶ 물의 비열 = 1 cal/g•℃ ▶ 수증기의 비열 = 0.24 cal/g•℃ ▶ 얼음의 융해 잠열 = 80 cal/g ▶ 물의 증발 잠열 = 540 cal/g 1) –10℃ 얼음을 0℃ 얼음으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 q = C m Δt = (0.5 cal/g•℃) (40 g) (10 ℃) = 200 cal 2) 0℃ 얼음을 0℃ 물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 q = C m = (80 cal/g) (40 g) = 320.. 2021. 5. 26. 통열량계의 열용량. 벤조산 2.85 g 24.05℃ 29.19℃ 통열량계의 열용량. 벤조산 2.85 g 24.05℃ 29.19℃bomb calorimeter HC7H5O2 –3227 kJ/mol 2.85 g 24.05℃ 29.19℃ 벤조산은 아주 높은 순도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통열량계의 열용량을 결정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The enthalpy of combustion of benzoic acid, C6H5COOH,which is often used to calibrate calorimeters, is –3227 kJ/mol.When 2.85 g of HC7H5O2 (molar mass = 122.12 g/mol)was burned in a bomb calorimeter,the temperature of the calorimeter changed.. 2021. 5. 26. 10.0 g 물이 수소와 산소 기체로 변환 10.0 g 물이 수소와 산소 기체로 변환 다음 열화학 반응식을 이용하여,10.0 g 액체 상태의 물이 수소와 산소 기체로 변환될 때,얼마나 많은 열(kJ)이 방출 또는 흡수되는가를 계산하시오.2H2(g) + O2(g) → 2H2O(l) ... ΔH = –571.6 kJ --------------------------------------------------- 2H2O(l) → 2H2(g) + O2(g) ... ΔH = +571.6 kJ---> 2 mol H2O 분해열 H2O(l) → H2(g) + 1/2 O2(g) ... ΔH = (+571.6 / 2) kJ/mol---> 1 mol당 H2O 분해열 10.0 g / (18 g/mol) = 0.5556 mol.. 2021. 5. 25. 25.0℃ CaCl2 sample 11.0 g water 125 g final temp 25.0℃ CaCl2 sample 11.0 g water 125 g final temp Consider the dissolution of CaCl2:CaCl2(s) ⟶ Ca^2+(aq) + 2Cl^-(aq) ... ΔH = –81.5 kJ An 11.0 g sample of CaCl2 is dissolved in 125 g of water,with both the substances at 25.0℃.Calculate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solutionassuming no heat lost to the surroundingsand the solution has a specific heat capacity of 4.18 J/g•℃. CaCl2의 몰질량 .. 2021. 5. 25. 45 kJ 열을 흡수 29 kJ 일을 한 기체의 ΔE 45 kJ 열을 흡수 29 kJ 일을 한 기체의 ΔE 45 kJ 열을 흡수한 어떤 기체가 29 kJ 일을 했다. 이때의 ΔE는? --------------------------------------------------- ΔE = q + w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219 ) = (+45 kJ) + (–29 kJ) = +16 kJ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4092 ] 어떤 계가 56 J의 일을 하고, 열 32 J을 받는다면 [키워드] ΔE = q + w 기준문서 2021. 5. 24. ΔH 계산. C2H2(g) + 2H2(g) → C2H6(g) ΔH 계산. C2H2(g) + 2H2(g) → C2H6(g) Use the data below to work out an enthalpy change for the reaction: C2H2(g) + 2H2(g) → C2H6(g) 1) C2H2(g) + 5/2 O2(g) → 2CO2(g) + H2O(l) ... ΔH = –1300 kJ/mol 2) H2(g) + 1/2 O2(g) → H2O(l) ... ΔH = –286 kJ/mol 3) C2H6(g) + 7/2 O2(g) → 2CO2(g) + 3H2O(l) ... ΔH = –1560 kJ/mol --------------------------------------------------- ▶ 참고: 헤스의 법칙 [ https://ywpop.tistory... 2021. 5. 22. 10 g Cu 10℃ 2000 J 10 g Cu 10℃ 2000 J 질량이 10 g인 구리(Cu)의 온도가 10℃였다. 여기에 2000 J의 에너지를 가했다. 구리의 최종온도를 계산하라. --------------------------------------------------- > 구리의 비열 = 0.385 J/g•℃ q = C m Δ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Δt = q / C m = (2000 J) / [(0.385 J/g•℃) (10 g)] = (2000) / [(0.385) (10)] = 519.5℃ Δt = 최종온도 – 처음온도 최종온도 = Δt + 처음온도 = 519.5 + 10 = 529.5℃ 답: 529.5℃ 2021. 5. 21. ΔH 계산. C2H4 + H2 → C2H6 ΔH 계산. C2H4 + H2 → C2H6 다음 연소 자료를 사용하여 이 반응에 대한 엔탈피 변화를 계산하시오. 1) C2H4 + 3O2 → 2CO2 + 2H2O ... ΔH = –1401 kJ 2) C2H6 + 7/2 O2 → 2CO2 + 3H2O ... ΔH = –1550 kJ 3) H2 + 1/2 O2 → H2O ... ΔH = –286 kJ --------------------------------------------------- ▶ 참고: 헤스의 법칙 [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한 이런 유형의 문제는 간단한 원리만 이해하면, 끼워 맞추기 “놀이”에 불과하다. C2H4 + H2 → C2H6 ---> 이 식을 “타깃”이라 한다. 1)식은 타.. 2021. 5. 14. 할로겐족의 표준생성엔탈피 할로겐족의 표준생성엔탈피 ▶ 표준 상태에서 가장 안정한 형태로 존재하는 원소의 표준생성엔탈피는 영(zero)이다. ( 참고: 표준 생성 엔탈피 https://ywpop.tistory.com/4416 ) ▶ F2의 표준 상태에서 가장 안정한 형태는 기체(g) 이므로, > ΔH_f°(F2, g) = 0 kJ/mol > 나머지 자료 없음. ▶ Cl2의 표준 상태에서 가장 안정한 형태는 기체(g) 이므로, > ΔH_f°(Cl2, g) = 0 kJ/mol > 나머지 자료 없음. ▶ Br2의 표준 상태에서 가장 안정한 형태는 액체(l) 이므로, > ΔH_f°(Br2, l) = 0 kJ/mol > ΔH_f°(Br2, g) = +31 kJ/mol [참고] 일반적으로 물질(= 계)은, 가열하면 (또는 열을 흡수하면), .. 2021. 5. 10.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