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3장] 화학양론497

한계 반응물. 50.5 g BaCl2 + 35.5 g Fe2(SO4)3 한계 반응물. 50.5 g BaCl2 + 35.5 g Fe2(SO4)3 BaCl2 = 208.23, Fe2(SO4)3 = 399.88 3BaCl2 + Fe2(SO4)3 → 3BaSO4 + 2FeCl3 --------------------------------------------------- 각 반응물의 몰수를 계산하면, 50.5 g / (208.23 g/mol) = 0.2425 mol BaCl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35.5 / 399.88 = 0.08878 mol Fe2(SO4)3 3BaCl2 + Fe2(SO4)3 → 3BaSO4 + 2FeCl3 BaCl2 : Fe2(SO4)3 = 3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2425 mol BaCl2와 반.. 2023. 3. 24.
PCl5 0.2 mol Fe2O3 80 g CO 3.0×10^21 PCl5 0.2 mol Fe2O3 80 g CO 3.0×10^21 Without doing any detailed calculations (but using a periodic table to give atomic weights), rank the following samples in order of increasing numbers of atoms: 0.2 mol PCl5 molecules, 80 g Fe2O3, 3.0×10^21 CO molecules. --------------------------------------------------- ▶ 참고: 아보가드로수와 몰(mol) [ https://ywpop.tistory.com/6475 ] --------------------------------.. 2023. 3. 24.
61.3 g KClO3로 얻을 수 있는 KCl의 질량(g) 61.3 g KClO3로 얻을 수 있는 KCl의 질량(g) 염소산칼륨 61.3 g으로 얻을 수 있는 염화칼륨의 질량(g) 2KClO3 → 2KCl + 3O2 KClO3 = 122.55, KCl = 74.55 --------------------------------------------------- 61.3 g / (122.55 g/mol) = 0.5002 mol KCl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KClO3 → 2KCl + 3O2 KClO3 : KCl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5002 mol KClO3 반응 시 생성되는 KCl의 몰수 = 0.5002 mol 0.5002 mol × (74.55 g/mol) = 37.2899 g KCl 답:.. 2023. 3. 23.
25 g HCl + 25 g NaOH 반응 시 생성되는 NaCl의 질량(g) 25 g HCl + 25 g NaOH 반응 시 생성되는 NaCl의 질량(g) 25 g NaOH + 25 g HCl 반응 시 생성되는 NaCl의 질량(g) NaOH = 40, HCl = 36.5, NaCl = 58 --------------------------------------------------- 각 반응물의 몰수를 계산하면, 25 g / (40 g/mol) = 0.625 mol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5 / 36.5 = 0.685 mol HCl HCl + NaOH → NaCl + H2O HCl : NaOH = 1 : 1 몰수비로 반응하므로, 몰수가 더 작은 NaOH가 한계 반응물. ( 참고: 한계 반응물 https://ywpop.tistor.. 2023. 3. 23.
Br3C6H3(C8H8)n 0.105% Br Br3C6H3(C8H8)n 0.105% Br Polystyrene can be prepared by heating styrene with tribromobenzoyl peroxide in the absence of air. A sample prepared by this method has the empirical formula Br3C6H3(C8H8)n, where the value of n can vary from sample to sample. If one sample has 0.105% Br, what is the value of n? --------------------------------------------------- Br3C6H3(C8H8)n의 몰질량을 계산하면, 3(79.90) + 6(.. 2023. 3. 22.
1.6 ppm F^- water 1 ton NaF gram 1.6 ppm F^- water 1 ton NaF gram 충치 예방에 1.6 ppm F^- 이온이 함유된 음료수가 권장되고 있다. 이 음료수 1 ton 중에 NaF 몇 g을 녹여야 하는가? It is recommended that drinking water contain 1.6 ppm F^- for the prevention of tooth decay. --------------------------------------------------- 1 ton = 1000 kg 이므로, 음료수의 밀도 ≒ 물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1 ton 음료수 = 1000 L 음료수 > Na의 몰질량 = 22.9898 g/mol > F의 몰질량 = 18.9984 g/mol > NaF의 몰질량 = 22.98.. 2023. 3. 22.
산화구리의 화학량론. 4Cu + O2 → 2Cu2O 산화구리의 화학량론. 4Cu + O2 → 2Cu2O --------------------------------------------------- > Cu의 몰질량 = 63.55 g/mol > O의 몰질량 = 16.00 g/mol > Cu2O의 몰질량 = 143.10 g/mol 4Cu + O2 → 2Cu2O 질량비를 계산하면, 4Cu : O2 : 2Cu2O = 4(63.55) : 32 : 2(143.10) = 254.20 : 32 : 286.20 = 254.20/32 : 32/32 : 286.20/32 ≒ 8 : 1 : 9 ( 참고: 질량비로 계산 https://ywpop.tistory.com/5078 ) [예제] 6.0 g 구리와 반응하는 산소의 질량은? 4Cu : O2 = 8 : 1 = 6.0 g : .. 2023. 3. 19.
산화구리의 화학량론. 2Cu + O2 → 2CuO 산화구리의 화학량론. 2Cu + O2 → 2CuO --------------------------------------------------- > Cu의 몰질량 = 63.55 g/mol > O의 몰질량 = 16.00 g/mol > CuO의 몰질량 = 79.55 g/mol 2Cu + O2 → 2CuO 질량비를 계산하면, 2Cu : O2 : 2CuO = 2(63.55) : 32 : 2(79.55) = 127.10 : 32 : 159.10 = 127.10/32 : 32/32 : 159.10/32 ≒ 4 : 1 : 5 ( 참고: 질량비로 계산 https://ywpop.tistory.com/5078 ) [예제] 6.0 g 구리와 반응하는 산소의 질량은? 2Cu : O2 = 4 : 1 = 6.0 g : ? g ? .. 2023. 3. 19.
액체 에탄올 120 mL와 기체 에탄올 800 mL의 몰수 액체 에탄올 120 mL와 기체 에탄올 800 mL의 몰수 300 K 밀폐 용기에 액체 에탄올 120 mL와 기체 에탄올 800 mL가 동적 평형. 에탄올의 증기압은 0.06 atm 액체 에탄올 밀도는 0.8 g/mL. 용기 내 에탄올 분자의 총 몰수는? 단, 에탄올 몰질량은 46, R = 0.08 ---------------------------------------------------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n = PV / RT = [(0.06) (0.800)] / [(0.08) (300)] = 0.002 mol ---> 기체 에탄올의 몰수 120 mL × (0.8 g/mL) × (1 mol / 46 g) = 120 × (0.8).. 2023. 3. 17.
0℃, 1기압 67.2 L N2를 얻으려면 몇 g NaN3 필요 0℃, 1기압 67.2 L N2를 얻으려면 몇 g NaN3 필요 0℃, 1기압에서 질소 67.2 L를 얻으려면 몇 g의 아자이드화 나트륨(NaN3)이 필요할까? 단, N, Na의 원자량은 각각 14, 23 --------------------------------------------------- 0℃, 1기압에서 기체 1 mol의 부피 = 22.4 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67.2 L × (1 mol / 22.4 L) = 67.2 / 22.4 = 3 mol N2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 2NaN3(s) → 2Na(s) + 3N2(g) NaN3 : N2 = 2 : 3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3 mol N2 생성에 필요한 NaN3의 몰수 = 2 mol Na.. 2023.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