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주8

[국보 제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국보 제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慶州 芬皇寺 模塼石塔) 분황사 주차장. 삼문과 매표소.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13번지 일대 분황사는 신라 선덕여왕 3년(634)에 창건된 이래 지금까지 법등을 이어온 유서 깊은 사찰이다. 분황사 창건 직후에는 당대의 명승 자장율사(590~658)와 원효대사(617~686)가 주석하였다. 분황사에는 솔거가 그렸던 관음보살상 벽화와 경덕왕 14년(755)에 강고내말이 구리 306,700근으로 주성하였던 약사여래상 등이 있어 사격을 높였다. 분황사는 당간과 지주, 중문, 석탑, 3금당, 강당, 회랑을 갖춘 대가람이었으나, 고려시대 고종 25년(1238) 몽고침입과 조선왕조시대의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을 차례로 겪으면서 대부분의 전각이 소.. 2013. 11. 8.
[사적 제16호] 경주 월성 [사적 제16호] 경주 월성 월성에서 봐라본 첨성대. 주변 유적지명 (1) 석빙고 (2) 동궁과 월지 (3) 첨성대 (4) 계림 (5) 황룡사지 (6) 국립경주박물관 (7) 인용사지 (8) 월정교 (9) 경주향교 (10) 남천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387-1 이곳은 신라시대에 궁궐이 있었던 곳이다. 지형이 초승달처럼 생겼다하여 '신월성(新月城)' 또는 '월성(月城)'이라 불렸으며, 임금이 사는 성이라 하여 '재성(在城)'이라고도 하였다. 조선 시대부터 반월성(半月城)이라 불려 오늘에 이른다. 성을 쌓기 전에는 호공(瓠公)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석탈해왕(昔脫解王)이 어렸을 때 꾀를 내어 이곳을 차지했다고 한다. 남해왕이 그 이야기를 듣고 석탈해왕을 사위로 삼았으며, 신라 제4대 왕이 되었다는 .. 2013. 11. 7.
[보물 제66호] 경주 석빙고 (石氷庫) [보물 제66호] 경주 석빙고 (石氷庫) 이 석빙고는 월성 안의 북쪽 성루 위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하고 있는 얼음 창고이다. 석실은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졌는데 약 1,000여 개의 돌이 쓰였고 천장 외부는 봉토의 형상을 하고 있다. 무지개 모양으로 만든 천장에는 공기구멍 셋이 있고, 바닥은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홈을 파서 비스듬하게 만들었다. 출입구는 남쪽에 있고 계단을 통하여 출입하게 되어 있다. 석빙고 출입문 이맛돌에 "숭정 기원후 재신유 추팔월 이기 개축"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어 영조 17년(1741)에 옮겨 세웠음을 알 수 있다. 옆에 있는 석비에는 "경주 부윤 조명겸이 얼음 창고를 돌로 만들었다가 3년 만에 이곳으로 옮겼다."고 적혀 있다. 현재 석빙고 서쪽으로 약 100 m 되는 곳에 옛터가 있다. 2013. 11. 5.
[사적 제457호] 경주 일정교지/월정교지 (慶州 日精橋址/月精橋址) [사적 제457호] 경주 일정교지/월정교지 (慶州 日精橋址/月精橋址) 월정교 복원 사업 공사 안내판. 공사기간이 2008년 5월부터 2011년 2월까지인데, 아직 완공되지 않았다니...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921-1/교동 274 일원 이 다리터(橋址)는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되었던 월정교의 유지(遺址)이다. 월정교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三國史記" 경덕왕(景德王) 19년조(760)에 "궁궐 남쪽 문천(蚊川) 위에 월정교(月淨橋), 춘양교(春陽橋) 두 다리를 놓았다." 라는 기록이 있다. 이처럼 처음 축조되었을 때의 이름은 월정교(月淨橋)였으나, 조선왕조시대에 이르러 월정교(月精橋)로 표기되어 왔다. 월정교의 규모는 길이 60.57 m로 발굴조사 때에 교각(橋脚) 사이에서 불에 탄 목재편과 기와.. 2013. 11. 5.
[사적 제246호] 경주 재매정 (慶州 財買井) [사적 제246호] 경주 재매정 (慶州 財買井)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91 재매정은 신라 명장 김유신이 살던 집터라고 전해지는 이곳에 남아 있는 우물이다. 월성에서 서쪽으로 약 400 m 거리에 남천을 바로 앞에 두고 위치해 있다. 삼국사기에 김유신 장군이 백제와 싸워 크게 이기고 돌아오는 중에 백제군이 다시 침범하여 온다는 급보를 받았다. 장군이 쉴 사이도 없이 출전하는 길에 자기 집 앞을 지나게 되자, 병사를 시켜 물을 떠오게 하여 마신 다음 "우리 집 물맛은 옛날 그대로구나!" 하면서 떠났다는 기록이 있다. 우물은 깊이 5.7 m, 최대 지름 1.8 m, 바닥 지름은 1.2 m 내외이고, 판석이 덮여 있다. 옆에는 조선 고종 9년(1872)에 세운 유허비가 있다. 재매정비각. 신라 태대각.. 2013. 11. 4.
[보물 제1727호] 경주향교 대성전 [보물 제1727호] 경주향교 대성전 경주향교 신삼문. 일반적으로 내삼문이라 하는데, 경주향교는 신삼문이라 부르네요. 대성전은 공자의 위패를 봉안한 건물로 전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갖추었다. 기단은 장대석을 2단으로 쌓은 곳과 지대석 위에 면석과 갑석을 올린 곳이 혼재되어 있으며, 남쪽 중간과 동/서 기단의 남쪽 끝 부분에 돌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공포는 주심포계 외 1출목 이익공식이다. 또한 건물의 4모퉁이 가까이에 동자주를 세워 지붕 일부를 받치고 있다. 이 대성전은 중건된 연혁이 분명하며, 간결하고 위엄 있는 목조건물로 옛 건축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경주향교 대성전. 신삼문이 닫혀있어서, 담 너머로 촬영하였습니다. 왼쪽부터, 서무, 대성전, 동무입니다. 경주향교 서무. 경.. 2013. 11. 3.
경주향교 (慶州鄕校) 경주향교 (慶州鄕校) 경주향교 홈페이지 ( http://gyeongjuhyanggyo.org/ ) 경주향교 방문객 출입문. 경주향교 외삼문. 경주향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이 자리는 원래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처음 세워진 국학이었던 곳이다. 고려시대에는 향학으로 조선시대에는 향교로서 지방교육기관의 역할을 이어왔다. 임진왜란 때 불 탄 것을 선조 33년(1600)에 대성전을 비롯한 제향공간을 다시 짓기 시작하여 광해군 6년(1614)에 명륜당을 비롯한 강학공간을 원래 모습대로 고쳐지었다. 건물은 위쪽 높은 곳에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를 두고, 아래쪽 낮은.. 2013. 11. 3.
[사적 제19호] 경주 계림 (慶州 鷄林) [사적 제19호] 경주 계림 (慶州 鷄林) 사적 제19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 이 숲은 첨성대와 월성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경주 김씨의 시조 알지가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신라 탈해왕 때 호공이 이 숲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들었는데, 가까이 가 보니 나뭇가지에 금궤가 빛을 내며 걸려 있었다. 이 사실을 임금께 아뢰어 왕이 몸소 숲에 가서 금궤를 내렸다. 뚜껑을 열자 궤 속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다하여 성을 김, 이름을 알지라 하고, 본래 시림, 구림이라 하던 이 숲을 계림으로 부르게 되었다. 경내의 비는 조선 순조 3년(1803)에 세워진 것으로 김알지 탄생에 관한 기록이 새겨져 있다. 계림비각. 2013. 11. 3.
반응형